*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가리【假吏】겸직

가리【家貍】고양이의 별칭

가리【家吏】태자궁의 아전

가림【嘉林】임천(林川)의 고호임.

가마【珂馬】화려하게 장식한 거마(車馬)라는 뜻으로, 조정의 특별한 명을 받은 사신의 행차를 의미한다.

가매【假埋】가매장함

가매【假寐】웃을 입은 채 잠을 잠

가모【假母】계모, 첩

가모【家母】살아 계신 자신의 어머니를 일컬음.

가목가【稼牧家】가정(稼亭)과 목은(牧隱). 고려 시대의 학자 이곡(李穀)과 그의 아들 이색(李穡)의 호이다.

가무【歌舞】노래 부르고 춤을 춤.

가무담석【家無擔石】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라는 뜻으로 집에 모아 놓은 재산이 조금도 없음을 말한다.

가무음곡【歌舞音曲】노래와 춤과 음악

가문【嘉聞】좋은 평판

가배【嘉俳】팔월 한가위

가법【家法】집안의 규율

가법홀종금궤변【家法忽從金樻變】송 태조가 어머니의 명령으로 장차 죽은 뒤에 그의 동생 광의(匡義 태종)에게 제위(帝位)를 전할 것을 조보(趙普)를 시켜 글로 쓰게 하여 금궤(金櫃)에 간직하였다.

가병【佳兵】군대를 일으켜 싸우기를 좋아하는 것을 말한다. 노자(老子) 31장(章)의 “잘 만든 무기는 불길한 연모이다.[夫佳兵者 不祥之器]”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가봉녀【加捧女】전부(前夫)의 아들을 거느린 재가녀(再嫁女). 즉, 전 남편의 아들을 데리고 재혼한 여자를 말한다.

가봉료거전【歌鳳鬧車前】공자가 초(楚) 나라에 있을 때 은자(隱者)로서 광(狂)이라 일컫던 접여(接輿)가 “봉이여 봉이여, 어이 이리도 덕이 쇠하였나.” 하고 노래하면서 공자 앞을 지나갔다. 《史記 卷四十七 孔子世家, 論語 微子》

가부【家父】살아 계신 자신의 아버지를 일컬음.

가부【葭莩】아주 먼 친척이 된다는 뜻이다. 한서(漢書) 중산정왕전(中山靖王傳)의 “지금 군신(群臣)과는 가부의 척분이 있지 않다.” 한 주에 “가(葭)는 갈대 잎이고 부(莩)는 갈대 잎 속의 흰 껍데기이니 아주 얇고 가벼운 것을 뜻한다.” 하였다.

가부【假父】양부, 의붓아비

가부【賈傅】한 문제(漢文帝) 때 태중대부(太中大夫)로 있다가 대신들의 미움을 받아 장사왕 태부(長沙王太傅)로 좌천된 가의(賈誼)를 가리킨다.

가부결정【可否決定】옳고 틀림을 정하는 일.

가부곤강관【賈傅困絳灌】가부(賈傅)는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를 지낸 한(漢) 나라의 가의(賈誼)를 가리킨다. 강관(絳灌)은 한 나라의 개국공신인 강후(絳侯) 주발(周勃)과 영음후(潁陰侯) 관영(灌嬰)의 병칭이다. 가의가 20세 때 문제(文帝)의 부름을 받고 조정에 들어와 1년도 안 된 사이에 태중 대부(太中大夫)에 이르면서 예악에 입각한 문치(文治)의 정책을 과감하게 건의하자, 문예를 잘 모르는 주발과 관영 등 대신들이 이를 시기하여 조정에서 쫓아냈다. 《史記 卷84》

가부득감부득【加不得感不得】더할 수도 뺄 수도 없음.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