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감류【坎流】감류는 “웅덩이를 만나면 멈추고 물결을 타면 흘러간다.”는 감지유행(坎止流行)의 준말로, 역순(逆順)의 환경에 따라 자신의 진퇴(進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감류행지【坎流行止】험난한 곳을 만나면 멈추고 흐름을 타면 행한다는 뜻의 ‘감지유행(坎止流行)’을 도치시킨 표현으로, 환경의 역순(逆順)에 따라 진퇴(進退)와 행지(行止)가 일정하지 않았던 것을 가리킨다.

감릉남북만상기【甘陵南北謾相譏】후한(後漢) 환제(桓帝) 때 감릉 출신의 주복(周福)과 방식(房植)이 각각 남부(南部)와 북부(北部)로 나뉘어 상대방을 공격하였는데, 이것이 사대부가 당파를 세운 최초의 일로 전해진다. 《後漢書 卷67 黨錮傳序》

감리【坎離】감리는 북방 수(北方水)와 남방 화(南方火)를 말한 것으로서, 도가(道家)의 연단법(煉丹法)에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감리【坎離】감은 복희팔괘(伏羲八卦) 감중련(坎中連)이고, 이는 이허중(離虛中)으로 물과 불, 달과 해가 된다.

감린【感麟】두예(杜預)의 ‘춘추좌씨전서’ 끝부분에 “나는 공자께서 기린이 나와 잡힌 것을 보고 감회에 젖어 춘추(春秋)를 지을 생각을 하셨다고 생각한다.[余以爲感麟而作]”라는 말이 나온다. 선성(宣聖)은 선조(宣祖)를 가리킨다.

감목공구【監牧攻駒】감목은 태복시(太僕寺)에 소속되어 목장(牧場)을 관장하는 관원인데, 공구는 곧 말을 다스린다는 뜻이다.

감무【監撫】감국 무군(監國撫軍)의 준말로, 즉 태자를 이른 말이다.

감무【瞰霧】안개를 내려다보다.

감반【甘盤】세자의 스승을 가리킨다. 본래는 은(殷) 나라 때의 현신(賢臣) 이름으로, 무정(武丁)이 즉위하기 전에 그에게서 학문을 배웠으며, 즉위한 뒤에는 그를 재상으로 삼았다.

감방【酣放】술에 취해 방종함을 이름. 황보 식(皇甫湜)의 한창려묘지령(韓昌黎墓誌銘)에 “及其酣放 豪曲快字 凌紙怪發" 이라 하였음.

감배사【感杯蛇】병이 들었다는 뜻이다. 옛날에 두선(杜宣)이란 사람이 술을 마시다가 술잔에 뱀이 있는 것을 보았으나 마시지 않을 수 없는 자리여서 술을 그대로 마셨는데, 술을 마신 뒤에 복통이 일어나 다방면으로 치료하였으나 병이 낫지 않았다. 그 뒤에 벽에 걸려 있던 활 그림자가 술잔에 뱀 모양으로 비쳤다는 것을 알고는 병이 즉시 나았다. 《風俗通 怪神》

감복【甘鰒】감복은 마른 전복을 물에 불려 사탕가루나 기름, 간장 등에 잰 음식이다.

감불생심【敢不生心】감히 마음을 생기게 하지 못함.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함. 즉, 감히 그런 마음을 먹을 수 없음. 힘과 능력이 부치어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한다는 말.

감산【弇山】감산(弇山)은 명(明)나라 왕세정(王世貞)을 말함. 호를 감주산인(弇州山人)이라고도 했던 왕세정은 시(詩)와 고문(古文)을 좋아하여, 역시 시와 고문으로 당대 이름을 날린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문맹(文盟)을 주관하였음. 《明史 卷二百八十七》

감석【泔淅】쌀뜨물인데, 쌀뜨물처럼 흰 이빨을 가리킨 것이다.

감수비부【撼樹蚍蜉】개미가 큰 나무를 흔들려고 한다는 뜻으로, 즉 자기의 역량은 생각하지 않고 함부로 큰일을 계획하거나 큰소리 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감승【甘蠅】감승은 고대의 명사수로 이름난 사람으로, 그가 활을 당기기만 하면 짐승이 넘어지고 날던 새가 떨어졌다 한다.

감시【監試】감시는 국자감시(國子監試)의 준말로 성균관의 생원ㆍ진사를 뽑는 과거시험이다.

감시【囝詩】전문은 다음과 같다. “郞罷別囝 吾悔生汝 囝別郞罷 心摧血下”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