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개중【箇中】이 가운데.

개중유인발형초【箇中游刃發硎初】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에 “지금 내가 19년 동안 칼을 잡고서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아 왔는데, 칼날을 보면 지금 막 숫돌에서 꺼낸 것처럼 시퍼렇게 날이 서 있다.[刀刃若新發於硎] 소의 마디와 마디 사이에는 틈이 있는 반면, 나의 칼날은 두께가 없으니, 두께가 없는 나의 칼날을 틈이 있는 그 사이로 찔러 넣으면, 그 공간이 그야말로 널찍하기만 하여 칼을 놀리는 데에 아무 지장이 없다.[恢恢乎其於遊刃必有餘地矣]”라는 ‘포정 해우(庖丁解牛)’의 유명한 일화가 실려 있다.

개지추【介之推】춘추 시대의 은사(隱士) 개자추(介子推). 그는 진 문공(晉文公)이 공자(公子)의 신분으로 망명할 당시 함께 19년을 모시었는데, 문공이 귀국 후에 봉록을 주지 않았으므로 면산(綿山)에 숨으니, 문공이 잘못을 뉘우치고 그 산을 불질러 자추가 나오도록 하려 하였으나, 그는 끝내 나오지 않고 타 죽었음. 장유시에, “之推避賞從 漁父濯滄浪”이라고 보임.

개착【改鑿】마음대로 고치다

개천【開天】당 현종(唐玄宗) 때의 개원(開元)ㆍ천보(天寶) 연간을 말한다.

개천체대력【開天逮大曆】개천은 당 현종(唐玄宗) 연간의 개원(開元)ㆍ천보(天寶) 두 연호를 합칭한 말이고, 대력(大曆)은 당 대종(唐代宗)의 연호로서, 시학상(詩學上)으로는 당 나라를 사등분한 초당(初唐)ㆍ성당(盛唐)ㆍ중당(中唐)ㆍ만당(晩唐) 가운데서 특히 이백(李白)ㆍ두보(杜甫) 등의 유명한 시인들을 배출한 성당의 시풍을 말한 것이다.

개출양【開秫釀】도연명이 팽택 영(彭澤令)으로 나가서 공전(公田)에 모두 기장을 심도록 한 고사가 있다. 《晉書 卷94 陶潛傳》

개통【介通】개결(介潔)한 신조와 임기응변하는 융통성을 말한다.

개평【開平】개평부(開平府)는 원(元) 나라의 지명인데 치(治)로 개평부를 둠.

개풍【凱風】남풍. 

개합백두신【豈合白頭新】서로 교유한 지 오래되어 머리가 하얘졌는데도 서로 간의 마음을 잘 몰라서 처음 만난 것처럼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개화【改火】新火

객객【喀喀】토하는 소리

객래문자혹휴존【客來問字或携尊】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집안이 가난해서 좋아하는 술도 제대로 마시지를 못했는데, 간혹 글자를 물으러 오는 손님들이 주효(酒肴)를 마련해 와서 술을 즐기곤 하였다는 고사가 전한다. 《漢書 卷87 揚雄傳》

객마천원규【客馬踐園葵】컴컴한 방 안에서 나랏일을 걱정하는 가난한 여인을 보고, 그것은 나랏님네나 걱정할 일이 아니냐고 이웃 사람이 묻자, 그 여인은 “전에 남의 나라의 나그네가 우리 집에 들렀을 때 그가 타고 온 말이 아욱 밭을 망쳐 놓아 나는 일 년 내내 아욱을 먹지 못했오.” 했다. 나라가 잘못되면 다같이 피해를 입는다는 뜻.

객몽호거경【客夢呼巨卿】매우 친근한 벗이 죽었다는 것임. 거경(巨卿)은 후한(後漢) 범식(范式)의 자임. 범식의 친우 장소(張劭)가 꿈에 나타나 하는 말이 “거경아 나는 모일(某日)에 죽었다.” 하자, 범식이 깜짝 놀라 꿈을 깨고 달려갔다고 한다.《後漢書 卷八十一 范式傳》

객반위주【客反爲主】손님(客)이 도리어 주인 노릇을 함. 주객전도(主客顚倒)와 같은 말. 사물의 대소(大小), 경중(輕重), 선후(先後)를 뒤바꾼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