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공거【蛩距】전설상의 짐승인 공공(蛩蛩)과 거허(距虛)는 서로 의지하여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공겸일자왕【功兼一字王】충렬왕(忠烈王)이 원나라의 부마(駙馬)가 되고 고려왕(高麗王)으로 책봉한 위에 다시 심양왕(瀋陽王)으로 봉하였다.

공경【恭敬】맹자(孟子)가 이르기를 “임금에게 어려운 일을 책임지우는 것을 공(恭)이라 이르고, 선한 일을 진언하고 부정한 일을 막아버리는 것을 경(敬)이라 한다.” 하였다. 《孟子 離婁上》

공경대부【公卿大夫】삼공과 구경, 대부등 벼슬이 높은 사람들. 삼공(三公)은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구경(九卿)은 육조판서, 좌참판, 우참판, 한성판윤, 대부(大夫)는 벼슬을 한 모든 사람을 말한다.

공고【公孤】공고는 주 나라의 관제(官制)인 삼공(三公)과 삼고(三孤)로 곧 높은 벼슬자리를 뜻한다.

공곡【空谷】세상을 피해 빈 골짜기에 홀로 사는 사람은 사람 발자국 소리만 들어도 가슴이 두근거리며 기뻐한다는 이야기가 장자(莊子) 서무귀(徐无鬼)에 실려 있다.

공곡【公穀】춘추에 주(註)를 낸 공양고(公羊高)와 곡량적(穀梁赤)을 합칭한 말인데, 이들의 주해는 특히 춘추의 경문(經文)에 매우 충실했다고 한다.

공곡공음【空谷跫音】빈 골짜기에 들리는 사람의 발소리, 즉 지극히 반갑고 기쁜 것을 말한다. 장자(莊子) 서무귀(徐無鬼)에 “혼자 빈 골짜기에 도망쳐 살 적에 인기척만 들려도 반가울텐데, 더구나 형제와 친척의 기침 소리가 옆에서 들려 온다면 어떻겠는가.[夫逃虛空者 聞人足音跫然而喜 又況乎昆弟親戚之謦欬其側者乎]”라고 하였다.

공곡인【空谷人】시경(詩經)에, “흰 망아지가 저 빈 골에 있네.”란 귀절이 있는데, 처사(處士)를 가리킨 시(詩)이다.

공곡족음【空谷足音】빈 골짜기의 발자욱 소리. 몹시 신기한 일, 뜻밖의 기쁨, 반가운 소식 등을 의미한다.

공공【悾悾】정성스러운 모양, 우직한 모양

공공【公公】지극히 공변되고 떳떳함, 노인을 부르는 경칭, 조부를 이름

공공거허【蛩蛩巨虛】전설상의 짐승인 공공(蛩蛩)과 거허(距虛)는 서로 의지하여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공공돌돌【空空咄咄】속마음이 불평스러우나 밖으로는 표출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진(晉) 나라 때 은호(殷浩)가 중군장군(中軍將軍)이 되었다가 남의 무함을 입어 신안(信安)으로 쫓겨났는데, 밖으로는 불평하거나 원망하는 기색이 없이 평상시와 같이 담소하였으나, 매일 손가락으로 허공에다 대고 무슨 글자를 썼다. 이에 사람들이 몰래 엿보니 ‘돌돌괴사(咄咄怪事)’라는 글자를 반복해서 쓰고 있었다고 한다. 《世說新語 黜免》

공공부주지촉【共工不周之觸】공공씨(共工氏)와 전욱(顓頊)이 다투다가 부주산(不周山)에 부딪치어 천주(天柱)를 꺾으니, 하늘이 서북(西北)으로 기울어지므로 여와씨(女媧氏)가 돌을 다듬어서 하늘을 기웠다 한다.

공공촉산【共工觸山】태고(太古) 적에 공공씨가 불주산(不周山)을 들이받아서 천유(天維)가 끊어지고 지주(地柱)가 부러졌는데, 불주산은 서북(西北)에 있다 하였다. 《文選 劉峻 辨命論》

공공탄【貢公彈】장차 벼슬길에 나아가게 되매 그 갓의 먼지부터 깨끗이 털어놓고 기다린다는 뜻이다. 한서(漢書) 왕길전(王吉傳)에 “공우(貢禹)가 왕길(王吉)과 절친한 사이였으므로 그때 사람들이 왕공이 벼슬길에 있으니 공공이 갓을 손질해 놓고 기다린다.” 했다.

공공환도【共工驩兜】순(舜) 임금 때의 죄인을 말한다. 서경(書經) 순전(舜典)에 “공공을 유주(幽州)로 귀양보냈고, 환도를 숭산(嵩山)에 내쳤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