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광박첨망【廣博瞻望】장건이 대장군 위청(衛靑)의 흉노 정벌에 따라가, 수초(水草)가 있는 곳을 잘 알았던 공로로 광박첨망(廣博瞻望)의 뜻을 취해 박망후(博望侯)에 봉해졌던 것과, 그 뒤 장군이 되어 우북평(右北平)에 나갔다가 실기(失期)하여 참형(斬刑)을 간신히 면하고 서인(庶人)이 되었던 것을 말한다. 《史記 卷111》

광복산【光福山】광복산은 일명 등위산(鄧尉山)이라 하는데 강소(江蘇) 오현(吳縣)의 서남 칠십 리 지점에 있다. 앞으로는 태호(太湖)가 보여 풍경이 극히 아름다우며 산에는 매화가 많아 꽃이 피면 온통 눈세계가 됨.

광사【曠士】가슴속이 활달하게 툭 터져 명랑 쾌활한 인사를 말한다.

광사【狂士】공자가 말하기를 “중도(中道)의 사람을 얻어서 도를 전하지 못할진댄 반드시 광견(狂狷)이라도 얻어서 가르치리라.” 한 데서 온 말인데, 광(狂)이란 곧 뜻만 대단히 고상하여 행실이 뜻에 걸맞지 못한 사람을 가리킨 것이다. 《論語 子路》

광사곡궁도【狂士哭窮途】진(晉) 나라 완적(阮籍)이 수레를 타고 가다 길이 막히면 문득 통곡하고 돌아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뜻이 높고 진취적인 인사[狂士]들이 곤경에 처한 절망적인 상황을 표현한 말이다. 《晉書 阮籍傳》

광산【匡山】광산은 중국 사천(四川) 강유현(江油縣)서쪽에 있는 산 이름으로 대광산(大匡山) 또는 대강산(大康山)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백이 그곳에서 글을 읽었다 한다.

광산【匡山】이백(李白)이 글을 읽으며 공부했다는 촉(蜀) 땅 면주(綿州) 창명현(彰明縣) 남쪽의 대광산(大匡山)의 약칭이다. 이백이 야랑(夜郞)으로 귀양 간 뒤에 소식을 알지 못해 애태우면서 두보(杜甫)가 지은 ‘불견(不見)’이라는 오언 율시(五言律詩)의 결구(結句)에 “광산이라 옛날에 글 읽던 그곳으로, 흰머리 날리면서 빨리 돌아와 줬으면.[匡山讀書處 頭白好歸來]”이라는 표현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0》

광성【廣成】광성은 황제(皇帝) 때의 신선인 광성자(廣成子)를 말한다.

광성옹【廣成翁】황제(黃帝) 때의 선인(仙人) 광성자(廣成子)를 이름.

광성유유회【廣成有遺誨】광성자(廣成子)가 황제(黃帝)에게 일러 준 지도(至道)와 양생(養生)에 관한 설을 말한다. 장자(莊子) 재유(在宥)에 그 내용이 상세히 나와 있다.

광성자【廣成子】옛날 공동산(崆峒山) 석굴 속에서 살았다는 신선 이름. 《莊子 在宥》

광악【廣樂】아주 미묘한 천상의 음악이란 뜻으로, 궁중의 음악을 말한다.

광악【光嶽】삼광오악(三光五岳)

광악【光岳】해, 달, 별의 삼광(三光)과 태산(泰山), 숭산(嵩山), 형산(衡山), 화산(華山), 항산(恒山)의 오악(五岳)으로, 천지(天地)를 가리킨다.

광악양부자【光岳兩夫子】광악은 해, 달, 별의 빛인 삼광(三光)과 태산(泰山), 숭산(嵩山), 형산(衡山), 화산(華山), 항산(恒山)의 오악(五岳)으로, 천지(天地)를 가리키며, 양부자는 주자(朱子)와 정자(程子)를 가리킨다.

광약【狂藥】미치는 약. 곧 술[酒]을 가리킨다. 진서(晉書) 배해전(裵楷傳)에 “족하께서 광약을 마시고 남의 정체(正體)를 책망하니 또한 잘못이 아닙니까.” 하였고, 송문감(宋文鑑) 범질시(范質詩)에 “너에게 음주를 경계하노니 술은 미치는 약이요 아름다운 맛이 아니다.” 하였다.

광양【俇攘】허둥거리며 어쩔 줄 모름. 슬프고 두려운 모양.

광양당【廣壤堂】제주도 남쪽 호국신사(護國神祠)의 당명(堂名)임. 전설에 이르기를 “한라산신(漢拏山神)의 아우가 나서부터 성스러운 덕이 있었고 죽어서는 신이 되었다. 고려(高麗) 때에 송(宋) 나라 호종단(胡宗旦)이 와서 이 땅을 압양(壓禳)하고 배를 타고 돌아가는데, 그 신이 매로 변화하여 돛대 머리에 날아오르더니, 이윽고 북풍이 크게 불어 호종단의 배를 쳐부숨으로써 호종단은 끝내 비양도(飛揚島) 바위 사이에서 죽고 말았다. 그리하여 조정에서 그 신의 신령함을 포창하여 식읍(食邑)을 주고 광양왕(廣壤王)을 봉하고 나서 해마다 향(香)과 폐백을 내려 제사하였고, 본조(本朝)에서는 본읍(本邑)으로 하여금 제사지내게 했다.”고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