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극사분【隙駟奔】짧은 인생의 무상함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예기(禮記) 삼년문(三年問)과 장자(莊子) 지북유(知北遊)에 나온다.

극선절계【郄詵折桂】보통 사람들보다 월등하게 뛰어난 것을 말한다. 극선이 누차 옹주 자사(雍州刺史)로 전직되었는데 진 무제(晉武帝)가 동당(東堂)에 모여 그를 송별하면서 묻기를 “경은 스스로 어떻게 생각하는가?”하니, 극선이 대답하기를 “신은 현량과 대책(賢良科對策)에서 천하의 제1위를 차지하였으니, 이는 계림(桂林)의 한 가지이고 곤륜산(崑崙山)의 한 조각 옥과 같습니다.”라고 하였다. 《晉書 郄詵傳》

극성【棘城】황주(黃州) 남쪽 25리의 고성(古城). 지금의 정방산성(正方山城). 고려 때 홍건적(紅巾賊)에게 우리 군사가 섬멸된 고전장(古戰場)이다. 고려 말 홍건적을 방어하다 관군이 몰살당했는가 하면 누차 병화(兵禍)를 입어 백골이 그대로 널려 있었던 곳이라고 함. 날이 궂으면 귀신의 곡성이 들려오기도 하고 여기(癘氣)가 침습해 백성이 많이 상했으므로 나라에서 단을 쌓고 춘추로 제사를 지냈다고 하는데, 조선 문종 때 이런 현상이 더욱 심했으므로 왕이 직접 제문을 지어 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극승【棘蠅】파리는 아유(阿諛)ㆍ중상(中傷)하는 자의 비유, 충성하는 사람을 해치고 임금에게 아첨하는 소인배를 가리킨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청승(靑蠅)에, “앵앵거리는 파리가 가시나무에 모이는도다.[營營靑蠅 止于棘]”하였다.

극시【棘寺】극시는 형법(刑法)을 맡은 관아, 즉 대리시(大理寺)의 이칭인데, 이 글은 바로 송(宋) 나라 때 왕우칭(王禹偁)이 지은 대루원기(待漏院記)를 가리킨다. 대루원기의 끝부분에서 ‘극시의 낮은 관리 왕우칭[棘寺小吏王禹偁]’이라고 하였다.

극암【戟巖】개성(開城) 북쪽 31리에 있는 험한 바위.

극원【棘院】고시장(考試場). 과거장(科擧場)에 가시 울타리를 하여 사람의 출입을 금하였으므로 그렇게 말한다고 한다. 일설에는 주(周) 나라 때 회나무와 가시나무를 정부(政府)의 좌우(左右)에 심었다 하여, 정부를 가리키는 말이라고도 한다.

극원【棘垣】과거 시험장

극위【棘圍】과거(科擧) 보이던 시험장. 옛날 과장(科場) 주위에 가시나무를 둘렀으므로 이렇게 말한다. 《通典 選擧》

극위【棘闈】극위는 당(唐) 나라 때 고시장(考試場)에 외인(外人)을 금지하기 위하여 가시나무를 쌓았던 데서 생긴 이름이다.

극위【戟衛】창을 들고 순시하는 군사이다.

극지【極之】그 이치를 끝까지 다 살펴보다.

극진문지동락【棘晉門之銅駱】전란으로 인해 황폐해진 풍경을 말한다. 한(漢) 나라 때 구리로 낙타 두 마리를 만들어서 낙양(洛陽)의 궁성 문 밖에 두었는데, 진(晉)의 색정(索靖)이 앞일을 미리 헤아려보고는 천하가 장차 어지러워질 것을 알고는 구리낙타를 향하여 말하기를, “네가 가시밭 속에 있는 것을 보겠구나.” 하였다. 《晉書 卷六十 索靖列傳》

극천하이굴신【克天下以屈臣】체면을 버리고 신하의 의견에 따름으로써 목적을 달성하다란 뜻의 고사성어.

극치【屐齒】나막신의 굽.

극포【極浦】먼 언덕.

근궁【芹宮】“반수(泮水)에 미나리를 캐리로다.” 하는 구절이 시경(詩經)에 있는데 노희공(魯僖公)이 반궁(泮宮)을 짓는 것을 찬송한 것이다. 후세에 제후(諸侯)의 태학(太學)을 근궁(芹宮)이라 하였다.

근궁언【芹宮彦】즉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을 가리킨다. 옛날 제후(諸侯)의 학궁(學宮)을 반궁(泮宮)이라 하였는데, 그 반궁의 물 즉 반수(泮水)에 미나리[芹]를 심었기 때문에 이름한 것이다. 시경(詩經) 노송 반수(泮水)에 “즐겁다, 저 반수에서 잠깐 미나리를 캐노라.[思樂泮水 薄采其芹]"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