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금려【黔驢】기량(技倆)의 졸렬함을 비유한 말. 옛날 금(黔) 땅에는 나귀가 없었는데, 어떤 이가 나귀를 데려가 산 아래 놓았더니, 호랑이가 큰 나귀를 처음 보고는 신(神)이라고 여겼다. 이어 나귀가 한번 울자 호랑이는 더욱 크게 놀라서 자기를 물까 걱정했으나, 차츰 서로 가까워져서 나귀에게 한번 덤벼 본 결과 나귀가 성을 내어 호랑이를 발굽으로 찼는데, 별로 아프지 않으므로 호랑이가 마침내 나귀를 만만하게 여기어 물어 죽였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柳河東集 卷十九》

금련【金蓮】남조(南朝) 제(齊)의 폐제(廢帝) 동혼후(東昏侯)가 황금으로 연꽃을 만들어 땅에 박아 놓고, 그 위로 반비(潘妃)를 걷게 하면서 말하기를, “걸음 걸음마다 연꽃이 피는구나.” 하였다 한다. 《南史 齊廢帝 東昏侯紀》

금련【禁臠】다른 사람은 맛볼 수 없는 물건이란 뜻. 높은 분의 음식을 감히 먹을 수 없다는 뜻으로, 자신으로서는 감히 엿볼 수 없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금련분【金蓮盆】당(唐) 나라 단문창(段文昌)이 소시(少時)에 말하기를, “장래에 부귀(富貴)하여 금련화분(金蓮花盆)에 발을 씻으리라.” 하더니 뒤에 과연 그 말대로 되었다.

금련촉【金蓮燭】당(唐)의 영호도(令狐綯)가 한림 승지(翰林承旨)로서 밤에 금중(禁中)에 입대하였다가 초가 다 타자 황제가 그를 한림원으로 돌려보내면서 승여(乘輿)에다 황제가 쓰는 금련촉을 밝혀 돌아가게 하였음. 《唐書 令狐綯傳》

금련촉【金蓮燭】소동파(蘇東坡)가 한림학사로 있을 때에 임금에게 불려 가서 밤늦도록 있다가 나올 때에 임금이 어전(御前)에만 쓰는 금련(金蓮) 촛불을 들려서 보내 주니 사람들은 임금이 오는가 하고 깜짝 놀래었다.

금렬마【金埒馬】금렬은 금구(金溝)와 같은 말로 금전(金錢)을 깔아 만든 도랑인데, 그 위를 달리는 말을 말한다. 진 무제(晉武帝) 때 왕제(王濟)가 무제의 딸 상산공주(尙山公主)에게 장가들어 극도의 호사를 누렸는데, 땅을 사들여 도랑을 만들고 그 안에 금전을 깔아 말을 타고 달리며 활쏘기를 즐겼다 한다. 《晉書 卷四十二 王濟傳》

금로【金露】한 무제(漢武帝)가 감로(甘露)를 받기 위하여 건장궁(建章宮)에 만들어 놓았던 동반(銅盤)인데, 그 이슬에 옥가루를 타서 마시면 장생불사(長生不死)한다고 한다. 《三輔敬事》

금롱실솔【金籠蟋蟀】유사(遺事)에 “매년 가을이 되면 궁중의 비첩(婢妾)들이 조그만 금롱 속에 귀뚜라미를 잡아넣어 베개맡에 두고 밤마다 그 우는 소리를 들었으므로 서민의 집에서도 다 이를 흉내내었다.” 하였다.

금루【黔婁】춘추(春秋) 때 제(齊) 나라의 고사(高士). 매우 가난했으나 고절(高節)을 지켰다. 《高士傳》

금루곡【金縷曲】곡조(曲調) 이름. 곽옥(郭鈺)의 시에 “술에 취한 연분홍 소매 금루곡을 노래하네[紅袖醉歌金縷曲]”하였다.

금루비파【金縷琵琶】금실로 만든 비파.

금루의【金縷衣】금루의는 금실로 꾸민 무의(舞衣)인데, 곡조의 이름이기도 하다. 당나라 두추랑(杜秋娘)이 부른 금루의곡(金縷衣曲)이 있는데, “그대여, 금루의를 아끼지 말고 젊은 시절 아끼라. 꽃이 피어 꺾을 만하거든 곧 꺾을 것이요, 꽃이 없어진 뒤에 빈 가지만 꺾지를 마소.” 하였다.

금루창【金縷唱】옛날 악곡명. 금루의(金縷衣)ㆍ금루곡(金縷曲) 등으로도 불린다.

금륜【金輪】불탑(佛塔) 꼭대기의 상륜(相輪)을 말한다.

금륜야차【金輪夜叉】금륜은 불교 용어로, 뛰어난 무력(武力)을 지니어 동서남북 사대주(四大洲)를 통치한다는 금륜왕(金輪王)을 가리킨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