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엄자【崦嵫】태양이 들어가 쉰다는 전설상의 산 이름이다.

엄자릉【嚴子陵】자릉(子陵)은 동한(東漢)의 고사(高士)였던 엄광(嚴光)의 자(字). 그는 일찍이 광무황제(光武皇帝)인 유수(劉秀)와 함께 유학(遊學)했었는데, 광무가 황제가 되자 그는 변성명을 하고 나타나지 않았다. 광무는 백방으로 찾아서 데려다가 대우를 잘하였으나 그는 뜻을 굽히지 않고 말을 함부로 하니, 광무는 웃으면서 “미치광이 옛 버릇 그대로구나!" 하였다. 한 번은 궁중에서 함께 잠을 자는데 광무의 배에 다리를 올려놓았다. 아침에 태사(太史)가 “어젯밤 천상(天象)을 관찰해보니 객성(客星)이 어좌(御座)를 범했습니다.” 하니 광무는 웃으며 “내가 옛 친구 엄자릉과 함께 잤다.” 하였다. 그는 끝내 벼슬을 사양하고 부춘산(富春山)에 은둔하였다. 《後漢書 卷八十三 嚴光傳》

엄자산【崦嵫山】엄자산은 감숙성(甘肅省)에 있는 산으로, 전설에 의하면 이곳으로 해가 져서 들어간다고 한다. 만년(晩年) 또는 노년(老年)의 비유로 쓰인다.

엄정【嚴桯】길을 떠날 차비(差備). 또는 기한이 정하여져 있는 여행길이라는 뜻이다.

엄조【嚴助】한 나라 회계(會稽) 오현(吳縣) 사람이다. 무제(武帝) 때 중대부(中大夫)로 있으면서 항상 대신들과 국정을 논의하였으며, 동방삭(東方朔)ㆍ사마상여(司馬相如)ㆍ오구수왕(吾丘壽王)등과 함께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의 모반사건 때 유안과 사이가 좋았다는 이유로 사형 당했다.

엄종【嚴終】엄안(嚴安)과 종군(從軍)이 한 무제(漢武帝) 때에 문학(文學)으로 뽑혀서 조정에 들어갔다.

엄준【嚴遵】한(漢) 나라 때의 은사(隱士). 자는 군평(君平). 그는 일찍부터 벼슬을 포기하고 성도(成都)에 은거하면서 복서(卜筮)를 업으로 삼고 살다가 일생을 마쳤다. 《漢書 卷七十二》

엄중굉변【淹中宏辯】엄중은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던 춘추시대 노(魯) 나라의 마을 이름인데, 한(漢) 나라 초기에는 고당생(高堂生)이 의례(儀禮) 10편에 대한 주석을 내는 등 역대로 문사들의 활동이 활발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곧 세속의 잡다한 일에 몰두하고 있다는 것이다.

엄중적【淹中籍】엄중은 춘추시대 노(魯)나라의 마을 이름으로 지금의 산동(山東) 곡부(曲阜)에 있는데, 공자의 유풍이 오랫동안 전승되었던 곳이다. 곧 사서 오경(四書五經)등 유가의 서적을 말한다.

엄중적【淹中籍】예서(禮書)를 이름. 엄중(淹中)은 노(魯)에 있는 마을 이름인데 일례(逸禮) 39편이 그 마을에서 출토되었음. 《漢書 藝文志》

엄체【掩涕】눈물을 닦다.

엄친【嚴親】살아 계신 자신의 아버지를 일컬음.

엄탄【嚴灘】후한(後漢)의 엄광(嚴光)이 은거하며 낚시를 즐기던 물가이다. 엄광은 소싯적에 광무제(光武帝)와 동문수학했던 인연으로 광무제 즉위 후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부름을 받았다가 응하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서 밭 갈고 낚시로 소일하며 여생을 마쳤다. 그의 자(字)가 자릉(子陵)이므로 엄릉뢰(嚴陵瀨)라고도 한다. 《後漢書 卷113ㆍ高士傳 下》

엄화【罨畫】단연총력(丹鉛總錄)에 “畫家有罨畫 雜彩色畫也" 라 하였음.

업가【鄴架】당(唐) 나라 때 업후(鄴侯)로 봉해진 이필(李泌)의 서가(書架)를 말하는데, 이필은 많은 책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장서(藏書)가 많은 사람을 업가라 일컫는다.

업도【業道】업도는 망심으로 일어나는 몸ㆍ입ㆍ뜻으로 짓는 업이다.

업도【鄴都】하남성(河南省) 창덕부(彰德府).

업백【業白】부처의 가르침을 배우면서 착한 일을 하는 것을 말한다.

업성【鄴城】삼국(三國)시대 위(魏)의 도읍지. 북제서(北齊書) 문원전(文苑傳)에, “업경 속에 연기 자욱하고 안개가 집결했다.[鄴京之下煙霏霧集]" 하였음.

업성【鄴城】한(漢) 나라가 설치한 현명(縣名). 삼국 시대에 위(魏) 나라 도읍으로 되었다.

업수【鄴水】업은 삼국(三國) 시대 위(魏) 나라의 도읍지인데, 조조(曹操)의 아들로서 시문(詩文)이 당세에 뛰어났던 조식(曹植)이 업의 궁전에서 잔치를 베풀고 시문을 지어 연못의 붉은 꽃을 읊는 등 풍류를 즐기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