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오신【五辛】고기와 같이 불제자가 먹지 않아야 할 다섯 가지의 매운 채소. 마늘ㆍ부초ㆍ파ㆍ달래ㆍ흥거(興渠), 오훈(五葷)이라고도 한다.

오신【五辛】다섯 가지의 자극성이 있는 채소. 일반적으로는 부추[韮]ㆍ염교[薤]ㆍ파[蔥]ㆍ마늘[蒜]ㆍ생강[薑]을 말하는데, 도가(道家)나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오신은 각기 종류가 다르다.

오신【五辰】오신은 서경(書經) 고도모(皐陶謨)의 “오신을 돌보아 온갖 일이 다 이루어질 것이다.”에서 나온 것으로 금ㆍ목ㆍ수ㆍ화ㆍ토의 다섯 시기인데, 곧 사계절을 뜻한다.

오신반【五辛盤】본초(本草)에 “정월 초하루에 맵고 연한 나물 다섯 가지를 먹는데, 이는 새해를 맞는 뜻이다.” 했고 척언(摭言)에는 “안정군왕(安定郡王)이 입춘(立春) 날에 오신반을 만들고 황감(黃柑)으로 술을 빚어 동정춘색(洞庭春色)이라 하였다.” 했다.

오신반【五辛槃】풍토기(風土記)에 “원단(元旦)에는 총(蔥)ㆍ산(蒜)ㆍ구(韭)ㆍ육호(蓼蒿)ㆍ개자(芥子)를 섞어서 먹는데 영신(迎新)의 뜻을 취한 것이다.” 하였음.

오신채【五辛菜】파ㆍ마늘ㆍ부추 등 다섯 가지 신채(辛菜)를 말하는데, 중국의 풍속에는 원단(元旦)이 되면 신년(新年)을 맞이하는 뜻에서 이 다섯 가지 신채를 섞어 먹었던 데서 온 말이다.

오신흑【鰲身黑】신산(神山)이 바다 물결에 떠밀려 다니자, 상제(上帝)가 거대한 자라들로 하여금 그 산들을 떠받치게 했다는 전설이 있다. 《列子 湯問》

오십금신【五十金身】금상산(金剛山) 유점사(楡岾寺)에 있는 53개의 불상(佛像)을 말하는 것으로 인도(印度)에서 문수대사(文殊大師)가 삼억가(三億家)의 금(金)을 모아 순금(純金)으로 불상을 만들어서 부처와의 인연(因緣)이 깊은 금강산으로 보냈다고 하는 것을 말한다.

오십모심【五十慕深】지극한 효성. 순(舜)은 50세에도 효가 지극했다는 데서 나온 말.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오십보소백보(五十步笑百步). 오십 보 도망친 사람이 백 보 도망친 사람을 비웃음. 피차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같다는 뜻. 맹자와 양혜왕과의 대화에서 유래. 전쟁터에서 어떤 자는 50보를 후퇴하고 어떤 자는 100보를 후퇴했는데, 50보를 후퇴한 자가 100보를 후퇴한 자에게 더 멀리 도망간 것은 비겁한 것이라고 비웃자, 맹자는 이 예를 들면서 둘 다 후퇴했으므로 차이가 없다고 하였음. 《孟子 梁惠王 上》

오십시지비【五十始知非】춘추(春秋)시대에 거백옥(蘧伯玉)이란 현인(賢人)이 50살이 되어 49년의 그른 것을 알았다 하였다.

오십인수희【五十人隨喜】화엄경(華嚴經)에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도(道)를 구하여 남방으로 다니며 53명의 선지식(善知識)을 방문하였다. 수희(隨喜)는 남의 착함을 따라서 기뻐한다는 뜻이다.

오십희연활【五十希延活】이는 공자가 이르기를 “나에게 수 년만 더 살게 해 준다면 오십 세에 주역을 배워서 큰 허물을 없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 데서 온 말이다.《論語 述而》

오씨【吳氏】오씨는 원(元) 나라의 학자 오징(吳澄)을 가리키는데, 주자가 중시한 도문학(道問學)보다는 상산(象山)이 내세운 존덕성(尊德性) 쪽에 더 많은 비중을 두어 육씨(陸氏)의 학문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