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옥유【玉蕤】옥의 정화로서 신선의 식물이라 함. 《眞誥》

옥윤【玉潤】훌륭한 장인과 사위를 칭찬한 말. 진(晉) 나라 때 위개(衛玠)가 장인 악광(樂廣)과 함께 명망이 높았으므로, 당시의 논자(論者)가 “장인은 얼음처럼 청결하고, 사위는 옥처럼 온윤하다.[婦公氷淸 女婿玉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三十六》

옥윤여아【玉潤女兒】외손녀를 말한다. 진(晉) 나라 위개(衛玠)가 악광(樂廣)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당시에 “장인은 빙청(冰淸)이요 사위는 옥윤(玉潤)이라.”는 평판을 얻었던 고사에서 유래하여, 사위를 옥윤이라고 하게 되었다. 《晉書 衛玠傳》

옥의【玉扆】옥으로 장식한 궁중의 호화로운 병풍을 말한다.

옥의【玉衣】제왕이나 후비(后妃)를 장사지낼 때 입히는 옥으로 된 옷이나, 또는 능침에 보관하고 있는 옷을 말한다.

옥인【玉人】매화를 은유한 말로, 소동파(蘇東坡)의 시 홍매(紅梅)에 “옥인(玉人)의 붉은 얼굴 교태 더욱 많아라.” 하였다.

옥인【玉人】친한 사람이나 사랑하는 사람을 부르는 애칭이다.

옥인수【屋因樹】나무 끝을 지붕 삼음. 산중에 은거함을 뜻한다.

옥잠【玉簪】옥관자(玉貫子)를 단 공경대부(公卿大夫)를 가리킨다.

옥잠주리【玉簪珠履】초(楚)나라 춘신군(春申君)은 식객(食客)이 3천 명이고, 조(趙)나라 평원군(平原君)도 식객이 3천 명이었다. 평원군이 자기의 식객을 춘신군에게 보냈는데, 호화로움을 자랑하기 위하여 대모잠(玳瑁簪)을 꽂고 칼집도 주옥(珠玉)으로 장식하였더니 춘신군의 식객은 모두 주옥으로 신을 만들어 신었다.

옥장【玉帳】옥같이 견고한 장막이란 뜻으로, 장수가 거처하는 장막을 가리킨다.

옥장【玉漿】원래는 선인(仙人)의 음료(飮料)를 뜻하는 말이나, 선인의 몸속의 기혈(氣血)을 가리키기도 한다.

옥장경【玉帳經】진법(陣法) 등을 기록한 병서(兵書).

옥저【沃沮】고대 부여(扶餘)계열의 한 부족 사회. 이들은 지금의 함경도(咸鏡道)일원을 중심으로 하여 부족 국가를 형성하고 살았었음. 《後漢書 東夷列傳》

옥저【玉筯】마치 옥 젓가락 모양으로 흘러내리는 눈물을 말한다. 삼국 시대 위(魏) 나라 문제(文帝)의 왕후인 견후(甄后)의 얼굴이 희었는데, 그 위에 두 줄기 눈물이 흐르면 마치 옥저(玉筯)와 같았다고 한다.

옥전【玉田】남전(藍田). 옥이 많이 나온다는 중국의 고을 이름.

옥전연【玉田煙】“남전에 날이 따스해 옥에서 연기가 나는구나.”이 말은 당(唐) 이상은(李商隱)의 금슬시(錦瑟詩)인데, 곡조가 화(和)한 것을 표현한 말이다.

옥절【玉節】예전 관찰사는 옥으로 된 절(節)을 가지게 되나니, 절은 깃대 위에 꽂은 것으로 그것은 임금이 하사하는 것이니, 그 사명에 대하여 주는 것이다.

옥절【玉節】옥 부절[玉節]은 곧 봄 소식을 의미한다.

옥절【玉節】옥으로 만든 부절(符節)을 말한다. 옛사람이 신(信)을 보여주는 물건으로 사용하였는데, 주례(周禮) 지관(地官) 장절(掌節)에 “방국(邦國)을 지키는 자는 옥절(玉節)을 사용한다.”에서 나온 것으로, 관찰사 등을 가리킨다.

옥절【玉節】옥으로 만든 부절(符節)인데, 천자의 사신을 옥절사(玉節使) 혹은 옥절랑(玉節郞)이라고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