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이여송【李如松】명(明) 나라의 장군. 그는 신종 황제의 명으로 임진왜란 때에 조선에 나와 왜란을 평정하였고, 뒤에 자기 아버지 이성량(李成梁)의 봉호인 영원백(寧遠伯)을 승습받았다. 《明史 卷二百三十八》

이연【貽燕】연익(燕翼)이란 말과 같은 말이다. 제비가 알을 품듯 품어 주었다는 말이다.

이연평【李延平】이연평은 송 나라 검포(劍浦)사람으로, 주희(朱熹)의 스승이다.

이열치열【以熱治熱】열로서 열을 다스림

이영【李穎】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으로 특히 박학다식하기로 유명하였고, 벼슬은 보문각 대제(寶文閣待制)ㆍ예부 상서(禮部尙書)ㆍ한림 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에 이르렀다.

이영각【邇英閣】송 영종(宋英宗)이 시신(侍臣)들을 명소하여 경사(經史)를 강독하던 전각 이름인데, 전하여 여기서는 경연(經筵)을 비유한 것이다.

이영간【李靈幹】고려 때의 문신. 그가 행한 많은 기적(奇蹟)이 전함.

이영구【李營邱】송 나라 때 화가 이성(李成). 영구(營邱) 사람임.

이예【夷羿】이(夷)는 예(羿)의 성, 하 나라 말기 유궁(有窮)의 임금. 하 나라 임금 상(相)을 시해하고 제위에 올랐었음. 夏后相(禹→啓→太康→中康→相)

이오【夷吾】이오는 춘추시대 제(齊)나라 환공(桓公)을 도와 패업(霸業)을 이룬 명상(名相) 관중(管仲)의 이름이다. 환공(桓公)으로부터 숙부(叔父)의 칭호를 들으며 부국 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으로 하여금 춘추시대 오패(五霸)의 으뜸이 되게 만들었다.

이오가이리오국【利吾家而利吾國】맹자(孟子)에, “왕은 가로되, ‘어찌하면 내 나라를 이롭게 할꼬.’하면, 대부는 가로되, ‘어찌하면 내 집을 이롭게 할꼬,’ 한다.”는 말이 있다.

이오봉【李五峯】오봉(五峯)은 이호민(李好閔)의 호이다.

이옹【伊翁】은(殷) 나라 탕왕(湯王)을 도와 왕도 정치(王道政治)를 펼친 이윤(伊尹). 당초 탕왕을 만날 길이 없자 탕왕의 처인 유신씨(有莘氏) 집의 요리사[宰臣]가 된 뒤 솥과 도마를 등에 지고 탕왕을 만나 음식으로써 천하의 도리를 비유해 설명했던 고사가 전한다. 《史記 殷本紀》

이옹【李邕】일명 이북해(李北海). 특히 행서(行書)에 능하여 생전에 쓴 비서(碑書)가 800여에 이른다고 함.

이옹입락【李邕入洛】좌천하여 지방에 떠돌아다니다가 다시 서울에 돌아오게 된 것을 비유한 말이다. 당(唐) 나라 때 이옹은 문명(文名)이 천하에 드높았고 성품이 아주 강직하였는데, 일찍이 간관(諫官)으로 있으면서 너무 과격한 말로 왕을 간한 것이 화근이 되어 좌천되어 여러 지방관으로 돌아다니다가 뒤에 다시 서울에 돌아와 현달하게 되었다. 《舊唐書 卷一百九十 李邕傳》

이완평【李完平】조선 중기의 명상(名相)으로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에 봉해진 이원익(李元翼)을 가리킨다.

이왕【二王】진(晉) 나라의 왕희지(王羲之)와 왕헌지(王獻之)를 말함.

이왕지사【已往之事】이미 지나간 일.

이요루【二樂樓】단양(丹陽)에 있는 누각 이름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