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임사【任姒】태임(太任)과 태사(太姒)의 병칭. 태임은 문왕(文王)의 어머니이고, 태사는 문왕의 후비(后妃)인데, 다 같이 부덕(婦德)이 뛰어났다.

임사흥주【妊姒興周】문왕(文王)의 어머니 태임(太妊)과 무왕(武王)의 어머니 태사(太姒)의 부덕(婦德)에 힘입어 문왕 무왕의 정치가 일어났다고 한다.

임서하【林西河】서하는 고려의 문인 임춘(林椿)의 호. 자는 기지(耆之). 정중부(鄭仲夫)의 난에 간신히 목숨을 건졌으며, 당시 이인로(李仁老) 등과 함께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 이인로가 그의 유문(遺文)을 모아 6권을 만들어, 서하선생집(西河先生集)이라고 했음.

임석천【林石川】조선조의 문신 임억령(林億齡)의 호가 석천(石川)이며, 강원도 관찰사, 담양 부사를 지냈다.

임성유【衽成帷】옛날에 소진(蘇秦)이 사람이 많았으므로, 과장적 표현으로 이런 말이 있었다.

임숙영【任叔英】조선조의 문신으로 자는 무숙(茂叔), 호는 소암(疏庵). 인조 때에 지평(持平)을 지냈고, 문장이 뛰어나고 경사(經史)에 밝았음.

임순【紝紃】길쌈과 바느질. 예기(禮記) 내칙(內則)에 “베를 짜고 실을 꼬며 여자의 일을 배워 의복을 마련한다.[織紝組紃 學女事 共衣服]" 하였음.

임시방편【臨時方便】때에 임하여 쓰는 방법과 수단. 그때 그때의 형편에 따라서 일을 처리하는 수단이나 방법.

임시변통【臨時變通】그때 그때의 상황의 변화에 따라 융통성 있게 일을 처리함

임심리박【臨深履薄】깊은 못가에 임한 듯 얇은 얼음을 밟은 듯 모든 일에 조심함을 말함. 《詩經 小雅 小旻》

임안【臨安】현재의 절강성(浙江省) 항주시(杭州市)로 오계(五季) 때 오월왕(吳越王) 전류(錢鏐)가 이곳에 도읍을 세웠으며 송(宋)의 문장가 소식(蘇軾)이 이곳에 오래 있었다.

임약【荏弱】연약하다. 

임영【臨瀛】강릉(江陵)의 고호(古號)이다.

임예【臨睨】엿보다. 

임오구【林烏句】박장원은 노모(老母)에 대한 효성으로 이미 사람들의 칭찬을 받고 있었는데, 월과(月課)로 ‘포오시(哺烏詩)’를 지어 올리면서 “선비가 어버이를 집안에 모시고도, 가난해서 맛있는 음식 마련도 못하누나. 미물인 저 새도 사람을 감동시키나니, 반포(反哺)하는 숲 까마귀 눈물을 흘리게 하는구나.[士有親在堂 貧無甘旨具 微禽亦動人 淚落林烏哺]”라고 하자, 인조(仁祖)가 이 시를 보고는 “한집안의 충효 정신이 사람을 감탄하게 한다. 해조로 하여금 미곡과 포목을 넉넉히 주도록 하라.[一家忠孝 令人感歎 其令該曹優給米布]”고 분부하였다는 기록이, 윤증(尹拯)이 지은 비문(碑文)에 실려 있다.

임오시【林烏詩】박장원(朴長遠)이 병자호란이 일어나던 해에 대과(大科)에 급제한 뒤, 외조부인 충렬공(忠烈公) 심현(沈▣)을 따라 강도(江都)에 들어갔다가, 외조부모의 뒤를 따라 함께 순절(殉節)하려고 하다가 모친을 봉양하라는 외조부의 말을 듣고서 모친을 모시고 나온 뒤, 극진하게 봉양을 하였는데, 인조 18년(1640)에 포오(哺烏)라는 제목의 월과시(月課詩)를 지으면서 “선비가 어버이를 집에서 모시면서, 가난하여 맛있는 반찬 드리지도 못하누나. 미물인 저 새도 사람을 감동시키나니, 반포(反哺)하는 숲 까마귀 눈물을 흘리게 만드누나.[士有親在堂 貧無甘旨具 微禽亦動人 淚落林烏哺]”라고 하자, 인조가 읽어 보고는 “한집안의 충효(忠孝)가 사람을 감탄케 한다.” 하고, 미포(米布)를 넉넉히 지급하게 한 고사가 있다.

임오포【林烏哺】어버이를 봉양하는 자식의 효성을 말한다. 까마귀가 자라서는 어미를 먹여 주며 은혜를 갚는다고 한다. 《初學記 卷30 註》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