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찬앙【鑽仰】성인의 도와 덕을 우러르고 학문 등을 깊이 탐구함. 안자(顔子)가 공자(孔子)의 도를 따를 수 없음을 한탄하여 말하기를 “뚫을 수록[鑽] 더욱 굳고 우러를 수록[仰] 더욱 높다[鑽之彌堅 仰之彌高]”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子罕》

찬양공【贊襄功】임금을 보좌하여 정치를 이룩하는 공로.’찬’은 보좌(輔佐), ‘양’은 성취(成就)의 뜻. 서경(書經) 고요모(皐陶謨)의 “찬찬양재(贊贊襄哉)" 에서 나온 문자.

찬영【餐英】초사(楚辭) 이소(離騷)에 “아침엔 난초에 맺힌 이슬로 목 축이고, 저녁엔 국화 꽃잎 주워서 배 채우네.[朝飮木蘭之墜露兮 夕餐秋菊之落英]”라는 말이 나온다.

찬옥【餐玉】선술(仙術)을 얻은 사람이 옥을 부수어 가루를 만들어서 밥처럼 복용한다는 데서 온 말이다.

찬옥법【餐玉法】신선이 되는 방법을 말한다. 옛날 이예(李預)는 신선들이 옥가루를 먹는 법을 부러워하여 날마다 먹었더니, 1년이 지나자 효험이 있었다. 그러나 주색(酒色)을 삼가지 않아 마침내 죽었는데, 이때는 7월이라 무더위가 심하였는데도 오래도록 시체가 상하지 않았다. 《魏書 卷三十三 李預傳》

찬자【粲者】아름다운 사람을 이름. 시경(詩經) 당풍(唐風)주무(綢繆)에 “그대여, 그대여, 어찌 이렇게 아름다운가[子兮子兮 如此粲者何]”하였다. 여기서는 매화를 말한 것이다.

찬장【竄藏】도망가서 숨다.

찬지객【餐芝客】상산 사호(商山四皓)처럼 세상 명리를 떠나 수신(修身) 양성(養性)하는 사람을 말한다.

찬파수【餐巴水】두로는 두보(杜甫). 그의 시에 “학질에 걸린 채 파수에서 먹고 살며, 전란의 와중에 촉도에서 늙고 있네.[瘧病餐巴水 瘡痍老蜀都]”라 하였다. 《杜少陵詩集 卷14 哭台州鄭司戶蘇少監》

찬하객【餐霞客】신선을 말함. 도가(道家)의 수련법에 이슬 먹는 법이 있음. 진고(眞誥)에 “해는 노을의 손님이고 노을은 해의 정기인데 그대는 오직 해를 복종시키는 법만 안다.” 하였음.

찬하음【爨下音】찬하는 초미금(炒尾琴)을 말함. 후한서(後漢書) 채옹전(蔡邕傳)에 “오(吳) 나라 사람이 오동나무로 불을 때는 자가 있었는데 채옹이 불타는 소리를 듣고 그것이 좋은 재목임을 알았다. 그래서 그에게 청하여 그것으로 거문고를 만드니 과연 아름다운 소리가 났는데 꼬리 부분에 타다 남은 흔적이 있었으며 이를 당시 사람들이 초미금이라 불렀다.” 하였음.

찬핵【鑽核】진(晉)의 왕융(王戎)이 인색하여 집에 좋은 오얏이 있어 내다 파는데 사람들이 종자를 얻을까 두려워하여 항상 씨를 뚫었다. 《晉書 王戎傳》

찬호우굴곡【鑽瓠憂屈轂】한비자(韓非子) 외저설좌(外儲說左)에 “송 나라 사람 굴곡(屈穀)이 제(齊)의 거사(居士) 전중(田仲)을 찾아가 ‘선생은 천성이 고결하여 남의 신세는 일체 지지 않는다고 하니, 내가 돌처럼 단단하고 또 워낙 두꺼워 구멍을 뚫을 수 없는 박[瓠]을 드리겠다.’ 하니, 전중이 ‘박이란 쓸모가 있어야 하는데 그처럼 물건을 담는 그릇도, 술을 마시는 표주박도 만들 수 없는 박은 나에게 필요치 않다.’ 하자 굴곡이 ‘그럼 나도 일찌감치 내버리겠다.’ 했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