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초란【楚蘭】초(楚) 나라 굴원(屈原)의 초사(楚辭) 중에 많이 나오는 고결한 난초라는 뜻이다.

초란전【椒蘭殿】후비(后妃)의 궁전을 말한다.

초란향【楚蘭香】초란은 곧 초 나라 굴원(屈原)이 조정에서 쫓겨난 뒤 택반(澤畔)을 방황하면서 난초를 캐어 허리에 찼다는 데서 온 말이다.

초량주【招涼珠】서늘함을 부르는 구슬이란 뜻으로, 연(燕) 나라 소왕(昭王)이 항산(恒山)에서 나온 구슬을 가지고 있었는데, 무더울 때 이 구슬을 가슴속에 품고 있으면 몸이 저절로 시원해졌다고 한다. 《拾遺記 燕昭王》

초록【草綠】의복에 쪽물들이는 것.

초록【蕉鹿】인간의 득실(得失)이 꿈과 같이 덧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정(鄭) 나라의 어떤 사람이 나무를 하다가 사슴을 잡고는 다른 사람이 가져갈까 염려되어 구덩이 속에 감춘 다음 풀로 덮어두었다. 그런데 얼마 뒤에 감추어 둔 장소를 잊어버리고는 마침내 꿈속에서 있었던 일로 여겼다. 그 사람이 길을 내려오면서 그 일을 떠들어대자 곁에 있던 사람이 그 말을 듣고 찾아가서 사슴을 가져갔다. 《列子 周穆王》

초록동색【草綠同色】풀빛과 녹색은 같은 색깔임. 같은 부류끼리는 어울림을 말함.

초록몽【蕉鹿夢】초록(蕉鹿)의 꿈은 세상이 혼란스러워 진위(眞僞)를 분간하기 어려운 상황을 뜻하는 말이다. 사슴[鹿]을 잡은 나무꾼이 늪지대 속에 나무[蕉]로 덮어 감춰 두었다가 나중에 그 장소를 잊어버리고는 꿈을 꾸었던 것인가 하고 여기고 말았는데, 그 말을 들은 다른 사람이 사슴을 찾아내자, 나중에 그 사람과 소송을 벌이며 꿈 얘기를 주제로 다투었다는 설화가 열자(列子) 주목왕(周穆王)에 상세히 나온다.

초록반혹황중객【蕉鹿反惑隍中客】인간 세상의 득실(得失)이 꿈같이 덧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옛날 정(鄭) 나라 사람이 땔나무를 하러 가서 사슴을 잡아가지고 남이 볼까 염려하여 황중(隍中)에 넣어 파초 잎으로 덮어두었다가 이내 그 사슴 넣어둔 자리를 잊어버리고는 마침내 그것을 꿈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그는 길을 따라 가면서 그 꿈속에 있었던 일을 혼자 중얼거리자, 곁에서 그 말을 들은 사람이 그 자리를 찾아서 사슴을 훔쳐 갔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列子 周穆王》

초롱【楚弄】초롱은 초 나라 곡조라는 말로, 초 나라 굴원(屈原)의 ‘원유(遠游)’중에 순(舜) 임금의 비(妃)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의 혼령이 애절하게 비파를 탄다는 ‘상령고슬(湘靈鼓瑟)’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