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초명【蟭螟】지극히 작은 전설상의 곤충 이름이다. 무리를 지어 모기 눈썹 사이에 집을 짓고 사는데, 들락날락해도 너무나 작아서 모기가 눈치를 채지 못한다고 한다.《列子 湯問》

초명살적문소상【蟭螟殺敵蚊巢上】아주 미세한 것을 비유한 것으로, 초명(蟭螟)이란 벌레는 하도 작아서 모기의 속눈썹에 집을 짓고 사는데도 모기는 그것을 모른다고 한다. 《列子 湯問》

초목고【草木枯】송(宋) 나라 때 미산(眉山)에서 소순(蘇洵) 및 그의 두 아들인 소식(蘇軾)ㆍ소철(蘇轍)까지 삼부자(三父子)의 대문장가들이 나오자, 당시 미산 사람들의 말에 “미산이 삼소를 탄생시키니, 초목이 모두 말라 버렸다.[眉山生三蘇 草木盡皆枯]”고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초목고【草木枯】훌륭한 인물이 탄생하면 그 지역의 초목이 마른다는 뜻에서, 동도사략(東都事略)에 “미산(眉山)에서 삼소(三蘇)가 나니, 초목들이 모두 다 말라졌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초목변쇠상초객【草木變衰傷楚客】전국 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 송옥(宋玉)을 가리킨다. 송옥의 구변(九辯) 첫머리에 “悲哉秋之爲氣也 蕭瑟兮 草木搖落而變衰”라는 유명한 구절이 나온다.

초목요락【草木搖落】초사(楚辭) 구변(九辯) 첫머리에 “슬프다, 가을 기운이여. 싸늘한 바람 불어옴에, 초목 우수수 떨어지고 모습 쇠하게 바뀌었네.[悲哉 秋之爲氣也 蕭瑟兮 草木搖落而變衰]”라는 유명한 구절이 나온다.

초목지명【草木知名】당(唐) 나라 장만복(張萬福)이 강회(江淮) 지역을 잘 다스려 초목까지 위명(威名)을 알고 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唐書 卷一百七十 張萬福傳》

초목충어학【草木虫魚學】시경(詩經)은 초목ㆍ조수(鳥獸)ㆍ충어 등 많은 물명(物名)이 나오므로 한 말이다. 이 때문에 오(吳)의 육 기(陸璣)는 모시초목조수충어소(毛詩草木鳥獸蟲魚疏)를 지었으니 이는 논어(論語) 양화(陽貨)의 “시를 배우면 초목 금수의 물명을 많이 알게 된다.” 한 공자의 말에서 나온 것이다.

초미금【焦尾琴】후한(後漢)의 채옹(蔡邕)이 오동나무가 불타는 소리를 듣고, 좋은 나무인 것을 알고, 불을 때고 있는 자에게 청하여 나무를 꺼내어서 거문고를 만들었는데, 탄 자국이 남아 있었으므로 이름을 초미금이라 했다 한다. 《後漢書 卷六十下 蔡邕傳》

초미지급【焦眉之急】눈썹에 불이 불음과 같이 매우 다급한 지경. 소미지급(燒眉之急)

초박【楚璞】초 나라 화씨의 옥덩이란 말이다. 화씨는 변화(卞和)인데 춘추 시대 초(楚) 나라 사람이다. 변화가 옥덩이 하나를 발견하여 전후로 초 나라 여왕(厲王)과 무왕(武王)에게 바쳤으나 모두 기만의 죄로 몰려 양쪽의 발꿈치가 잘렸다. 문왕(文王) 때에 이르러 변화가 또 옥덩이를 안고 형산(荊山) 밑에서 통곡하자 문왕이 사람으로 하여금 그 옥덩이를 쪼개어 가공한 결과 보옥(寶玉)을 얻었는데 이를 화씨벽(和氏檗)이라고 일컬었다. 《韓非子 和氏》

초반송화【椒盤頌花】상고 때 정월 초하루에 손님을 접대할 때는 소반에다 산초(山椒)를 담아 내와 술에다 산초를 넣어 마셨는데, 진(晉) 나라 유진(劉蓁)의 아내가 설날에 초화송(椒花頌)을 지었다고 함. 두공부초당시전(杜工部草堂詩箋) 권2 두위댁수세(杜位宅守歲)에 “아융의 집에 와서 새해를 맞으니 산초 담은 소반에 하마꽃을 노래하네[守歲阿戎家 椒盤巳頌花]" 하였음.

초반포국【椒盤蒱局】한 해를 보내며 술을 먹고 윷놀이를 즐기는 것을 말한다. 초반은 산초 열매를 담은 소반이라는 뜻으로, 술에다 이 열매를 타서 새해의 술로 썼던 풍속이 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