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축일상제【逐日霜蹄】통명기(洞冥記)에 “수미국(修彌國)에 말이 있는데 용과 같아서 공중에 날기도 하고 해도 쫓는다.” 했다.

축자부추의【畜牸富推猗】사기(史記) 화식전(貨殖傳)에 “의돈(猗頓)은 노(魯) 나라 사람인데, 도주공(陶朱公)에게서 치부(致富)하는 방법을 배워 암소 다섯 마리를 길러서 부자가 되었다.” 하였다.

축지산【祝枝山】지산은 명 나라 축윤명(祝允明)의 호.

축치이자【逐鴟夷子】춘추 시대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회계(會稽)에서 크게 패하였을 적에 그의 모신(謀臣) 범려(范蠡)가 서시를 취하여 오왕에게 바치고 위기를 면하였는데, 오왕은 서시를 위해 고소대(姑蘇臺)를 짓고 그의 미색에 빠져 날마다 유연(遊宴)이나 일삼고 정사는 돌보지 않다가 마침내 월 나라에게 멸망당하자, 서시는 죽지 않고 다시 범려를 따라갔다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축항어【縮項魚】목이 짧은 고기로 축경편(縮頸鯿)이라 하는데, 곧 병어를 가리킨다.

축항편【縮項鯿】축항편은 머리가 편평(扁平)하고 목이 오그라든 형상의 물고기로 방어(魴魚) 종류이다.

축회【丑會】회는 30운(運)으로 곧 1만 8백 년을 가리키는데, 옛날에 “하늘은 자회(子會)에서 열리고 땅은 축회에서 열리고 사람과 물건은 인회(寅會)에서 태어났다.[天開於子 地闢於丑 人生於寅]”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다.

춘【椿】춘(椿)나무는 매우 오래 사는 나무로,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상고(上古)에 대춘(大椿)이라는 나무가 있었는데, 8천 세를 봄으로 삼고 8천 세를 가을로 삼는 영목(靈木)이다.” 하였다. 장수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춘각【春脚】봄의 다리[春脚]는 ‘다리 달린 봄날[有脚陽春]’의 준말로서 어진 정치를 하는 지방수령을 말함.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 “송경(宋璟)이 태수가 되어 백성을 사랑하니 당시 사람들이 모두 다리 달린 봄날이라 했다.” 하였다.

춘경【春鏡】봄단장하는 거울, 즉 춘장경(春妝鏡)의 준말이다. 맹호연(孟浩然)의 춘정(春情) 시에 “청루의 주렴에 아침 햇살 비치니, 분 연지 봄단장에 거울을 재촉하네.[靑樓曉日珠簾映 紅粉春妝寶鏡催]" 하였다.

춘경【春卿】춘경은 이규보(李奎報)의 자(字)이다.

춘경백수【春卿百首】춘경은 고려(高麗) 시대 문장가인 이규보(李奎報)의 자인데, 이규보가 특히 부안현(扶安縣)의 모든 경치를 두고 읊은 시가 많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춘관【春官】예부(禮部)의 별칭.

춘균등연촉【椿菌等延促】현상적 차별성은 절대적 지평(地平) 위에서 볼 때 모두 녹아 없어진다는 말이다. 대춘(大椿)은 1만 6000년을 산다는 나무 이름이고, 조균(朝菌)은 아침에 생겨나 곧바로 시들어버리는 버섯 이름이다. 《莊子 逍遙遊》

춘년【椿年】춘수(椿壽)와 같은 뜻으로 곧 오래 삶을 말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상고 때 대춘(大椿)이 있었는데, 8천 년으로 한 봄을 삼고 8천 년으로 한 가을을 삼는다.” 하였다.

춘년어혜고【椿年語蟪蛄】장자(莊子)소요유(逍遙遊)에 “쓰르라미는 여름 한철에만 생겨났다가 없어지기 때문에 봄과 가을을 모르는데 저 8천 년이나 오래 묵은 춘나무를 어찌 알겠느냐.” 했는데, 얕은 식견으로는 깊은 도량을 모른다는 비유이다.

춘니홍착개【春泥鴻着介】기러기가 앉았던 진흙에 남은 발자국은 곧 없어진다는 뜻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