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치홀【致笏】치사(致仕)와 같은 뜻으로 쓰는 말.

치황【緇黃】치의(緇衣)와 황관(黃冠). 승려는 치의를 입고 도사(道士)는 황관을 쓰므로 승려와 도사를 일컫는 말이다.

치효【鴟梟】올빼미 

치효괴아실【鴟鴞壞我室】시경(詩經)에, “부엉아, 부엉아, 제발 내 집을 망가치지 말려무나.” 하는 시가 있는데, 관숙(管叔)ㆍ채숙(蔡叔) 등 종실(宗室)이 주실(周室)을 뒤엎을까 걱정하여 주공(周公)이 그들을 치기 전에 먼저 성왕(成王)에게 풍유(諷諭)한 노래라 한다.

치힐【癡黠】치할은 어리석음과 교활함을 말하는데, 옛날 송(宋) 나라 저공(狙公)이 여러 원숭이에게 상수리를 아침에 세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고 하자 원숭이들이 성을 내므로, 그러면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고 하니, 원숭이들이 기뻐하였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눈앞에 당장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똑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과 간사한 꾀로 남을 농락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列子 黃帝》

치힐교당선【癡黠較螳蟬】목전(目前)의 이익만 탐하여 후환(後患)을 돌보지 않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즉 매미가 나무 위에서 울고 있을 때, 버마재비는 그 뒤에서 매미 잡을 것만 생각하고 황작(黃雀)이 곁에서 저를 쪼려고 하는 것은 모르며, 황작은 또 버마재비만 쪼려 하고 아래에서 탄환(彈丸)으로 저를 쪼려고 하는 것은 모른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說苑 正諫》

칙칙【恜恜】조심하는 모양

친근사구정불비【親近沙鷗靜不飛】바닷가에 사는 사람이 어떤 노인이 매일같이 갈매기와 어울려 놀았는데, 하루는 그의 어린 딸이 한 마리 잡아오라고 해서, 그 다음 날 바닷가에 나갔더니 갈매기들이 다시는 다가오지 않았다 한다. 아무 욕심이 없는 은둔 생활을 뜻한다.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논어(論語) 이인(里仁)에 “부모의 나이는 알지 않을 수 없다.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다.”고 한 말에서 인용하였음.

친라올군【親羅兀軍】국경 지대의 농사꾼을 보호하던 군인. 조선 초기부터, 야인(野人)과 접경을 하고 있는 함경도ㆍ평안도 양도의 변경에는 여름철에 농사꾼이 농사를 짓다가 적에게 포로되어 가는 사고가 매우 빈번하였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군사를 먼저 변경에 내보내 적변(賊變)이 있나 없나를 살피도록 한 뒤에 농사꾼을 들여보내서 농사를 짓게 하였다. 그 순찰하는 군인을 친라올군이라 일컬었던 것이다.

친변【親邊】부모님 곁.

친붕곤곤제명시【親朋袞袞際明時】두보(杜甫)의 취시가(醉時歌)에 “제공들 줄지어 대성에 오르는데, 광문 선생 관직만은 홀로 썰렁하구나.[諸公袞袞登臺省 廣文先生官獨冷]”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3》

친왕【親王】황제(皇帝)의 형제나 황제의 아들을 일컫는 말이다.

친위세안중첨선【親闈歲晏重添線】어머니가 자식의 옷을 짓는 것을 말한 것으로, 맹교(孟郊)의 유자음(遊子吟)에 “자모가 손수 바느질한 것은 유자가 입을 옷이로다[慈母手中線 遊子身上衣]” 한 데서 온 말이다.

친자【親炙】친히 교화를 받았다는 뜻. 맹자(孟子)에, “而况親炙之者乎”라는 말이 보임.

친향선니【親享宣尼】문묘(文廟)에 제사하는 것을 말한다. 선니(宣尼)는 한 평제(漢平帝)가 공자(孔子)에게 올린 시호이다. 《漢書 卷十二 平帝本紀》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