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 하 -

   

하가찬【何家饌】진(晉) 나라 하증(何曾)이 호사(豪奢)를 좋아하여 날마다 먹는 음식에 만전(萬錢)을 쓰고도, “젓가락 댈 데가 없다.”고 하였다 한다.

하간【河間】하간은 하간헌왕(河間獻王)의 약칭으로 한 경제(韓景帝)의 셋째 아들 유덕(劉德)인데, 민간의 선본(善本)을 많이 수집하고 학문에 뜻을 두었으므로 산동(山東)의 제유(諸儒)들이 많이 종유(從遊)했다.

하간유객성【河間有客星】어떤 사람이 떼를 타고 은하에 올라 직녀(織女)와 견우(牽牛)를 보고 여기가 어디냐고 물으니, 촉중(蜀中)의 엄군평(嚴君平)을 찾아가 물으라 하였다. 돌아와서 엄군평을 찾아가 그곳이 어디냐고 물어보니, 군평이 대답하기를, “모 연월일에 객성이 견우성을 범했다.”고 하였다. 《博物志》

하간전【河間傳】하간의 지역에 대대로 전해오는 정악(正樂)을 이름.

하간전【河間錢】후한 환제(後漢桓帝) 때 경도(京都)의 동요(童謠)에 “하간의 미녀가 돈을 세는 데 능하여, 돈으로 집을 만들고 금으로 당을 만들도다[河間姹 女工數錢 以錢爲室金爲堂].” 한 데서 온 말인데, 하간의 미녀란 곧 하간으로부터 궁중(宮中)에 들어온 영제(靈帝)의 모후(母后)인 영락태후(永樂太后)를 가리킨 말이다. 《後漢書 五行志》

하감【賀監】당 나라의 풍류객 하지장(賀知章)을 말함. 그가 비서감(秘書監) 벼슬을 지냈으므로 붙여진 이름임. 만년에 현종(玄宗)에게 도사(道士)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가겠다고 청하자 현종황제(玄宗皇帝)는 특별히 그에게 경호(鏡湖) 한 굽이를 하사하여 그 곳에서 지내게 하였다. 86세 때 죽었다. 《新唐書 卷一百九十六 賀知章傳》

하감청유【賀監淸遊】하감은 당 현종(唐玄宗) 때의 고사로 일찍이 비서감(祕書監)을 지낸 하지장(賀知章)을 이르는데, 그는 만년에 벼슬을 그만두고 임금으로부터 경호(鏡湖) 한 굽이를 하사받아 그 곳에서 은거하였다. 《唐書 卷一百九十六》

하감호【賀鑑湖】하 감호는 당(唐) 나라 하지장(賀知章)의 별칭으로, 현종(玄宗)이 그에게 감호 섬계(鑑湖剡溪) 일곡(一曲)을 하사한 데서 온 말이다.

하개【荷蓋】연꽃으로 만든 덮개.

하거【河車】하거는 본디 도사(道士)가 연단(鍊丹)하는 원료인 연(鉛)을 가리키는데, 단(丹)을 수련하는 뜻으로도 쓰인다.

하거불각양풍비【下車不覺攘馮臂】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옛날의 습관이 나왔다는 뜻이다. 춘추 시대 때 진(晉) 나라에 풍부(馮婦)라는 자가 있어서 범을 잘 잡다가 착한 선비가 되었는데, 들판을 지날 적에 여러 사람이 범을 쫓고 있는 것을 보고는 팔뚝을 걷어붙이고 수레에서 내려오자 선비들이 비웃었다고 한다. 《孟子 盡心下》

하걸축조구【夏桀築糟丘】조구(糟丘)는 술지게미가 산처럼 쌓인 것을 말한 것으로, 하 나라걸왕(桀王)이 무도하여 음주(飮酒)에 탐닉했던 것을 가리킨 말이다. 《한시외전(韓詩外傳) 卷四》

하결산조지【河決酸棗地】사기(史記) 하거서(河渠書)에 “한(漢) 나라가 일어난 지 39년 만에 하수(河水)가 산조(酸棗)에서 터졌고, 그 뒤 40여 년이 지나 원광(元光) 연간에 호자(瓠子)에서 터져 설상(齧桑)을 휩쓸고 회수와 사수에까지 범람했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