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하오【夏五】궐문(闕文)을 뜻하는 말로, 춘추(春秋)의 환공(桓公) 14년 조(條)에 ‘하오월(夏五月)’을 ‘하오’로만 기재하여 ‘월(月)’ 자를 빠뜨린 데서 온 말이다.

하옥【夏屋】문간의 행랑인데 넓으면서 낮은 집

하옥【瑕玉】티가 있는 구슬. 흠이 없으면 완전한 것인데, 아깝게도 흠이 있어 결점이 된다는 뜻. 옥에 티.

하원【河源】하원은 황하(黃河)의 근원을 말한다.

하위【河渭】黃河와 渭水를 가리킨다.

하유【下帷】서한(西漢)의 학자 동중서(董仲舒)가 강송(講誦)할 때 장막을 내리곤 하였으므로[下帷], 사람들이 그의 얼굴도 보지 못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史記 卷121 儒林列傳 董仲舒》

하유【瑕瑜】옥의 티와 광택. 전하여 좋은 것과 나쁜 것.

하유동생【下帷董生】동생(董生)은 동중서(董仲舒)이다. 동중서가 장막을 내리고 외인과 떨어져 글만 읽었으므로 동중서를 하유노인(下帷老人)이라고도 한다. 환혼기(還魂記) 숙원(肅苑)에 “하유노인이 동산도 구경하지 못했다.[下帷老子不窺園]" 하였다.

하유불잠출【下帷不蹔出】방에 발을 치고 깊이 들어앉아 독서(讀書)에만 전념함을 말함. 《漢書 董仲舒傳》

하유선생어육경【下帷先生飫六經】서한(西漢)의 학자 동중서(董仲舒)가 장막을 드리운 채 강론을 하였으므로 제자들 중에서도 그 얼굴을 한 번도 보지 못한 자가 있었으며, 독서에 심취한 나머지 3년 동안 집의 뜨락을 내다보지도 않았다는 고사가 전한다. 《史記 儒林列傳 董仲舒傳》

하육【夏育】주(周)나라 때 위(衛)의 용사(勇士).

하육【何肉】하육은 하씨(何氏)의 고기. 남제(南齊) 때 불교(佛敎)를 매우 신봉(信奉)하였던 하윤(何胤)이 육식(肉食)을 끊지 못했기 때문에 한 말이다.

하음【何陰】양(梁) 나라 때 시(詩)를 잘 하기로 명성이 높았던 하손(何遜)과 음갱(陰鏗)을 병칭한 말이다.

하의【荷衣】연(蓮)잎으로 엮어 만든 은사(隱士)의 옷을 말한다. 초사(楚辭) 이소경(離騷經)에, “연잎을 재단하여 옷을 만듦이여, 연꽃으로는 치마를 짓도다.[製芰荷而爲衣兮 集芙蓉而爲裳]" 하였다.

하의【荷衣】연잎으로 만든 옷으로, 신선이나 도사, 은자가 입는 옷을 가리킨다. 초사(楚辭) 구가(九歌) 소사명(少司命)의 “연잎 옷에 혜초의 띠를 띠고 금방 왔다가 훌쩍 떠나네[荷衣兮帶 儵而來兮忽而逝].”에서 나온 것으로 역시 은사의 생활을 말한 것이다.

하의치【荷衣緇】하의는 연잎으로 지은 은자(隱者)의 옷을 뜻한 것으로, 전하여 풍진(風塵) 속에 분주하다가 세속의 더럽힘을 받은 것을 비유한 말이다.

하이【蝦夷】고대 일본 북단에 거주하던 미개 종족. 지금 일본의 북해도(北海道)를 이름.

하이가위【何以假爲】다른 나라에 사신으로 가면서 거짓 직함을 띠고 갈 경우, 자신이 먼저 바르지 않기 때문에 바른 말을 할 수 없어서, 거짓 직함을 띠고는 갈 수 없다는 뜻이다.

하일진현【夏日晉賢】춘추 때 진(晉)나라의 어진 대부(大夫) 조순(趙盾)이 위엄 있기로 유명했다. 진 나라의 가계(賈季)가 조최(趙衰)를 겨울날의 해로, 조순을 여름날의 해로 비유했으니 겨울 해는 사랑스럽고 여름 해는 두려울 만하기 때문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