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홍정【紅丁】버섯의 별칭이다.

홍정【紅亭】붉게 장식한 요정(料亭), 즉 기생집을 말한다.

홍정【紅旌】붉은 깃발.

홍제원【洪濟院】조선 시대에 중국 사신(使臣)이 서울로 올 때 성(城)안에 들어오기 전에 묵던 공관(公館)으로, 지금의 서울 홍제동에 있었다.

홍준저【鴻遵渚】사명(使命)을 마치고 조정으로 돌아감을 뜻함. 주공(周公)이 일찍이 동쪽 지방을 다스리러 가 있을 적에 그 곳 백성들이 주공을 만나보게 된 것을 기뻐하면서 한편으로는 기러기가 물가를 따르듯이 주공도 의당 조정으로 돌아가게 될 것을 서운하게 생각하여 노래하기를 “기러기는 날아서 물가를 따르나니 공이 돌아갈 곳이 없으랴 너에게서는 이틀 밤만 묵을 것이다[鴻飛遵渚 公無所歸 於女信處]” 한 데서 온 말이다. 《詩經 豳風 九罭》

홍중실【洪仲實】중실은 홍세영(洪世英)의 자이다.

홍진라착편【紅塵懶着鞭】벼슬을 재촉하는 조정의 소명(召命)이 정말 지겹다는 말이다.

홍질발【紅叱撥】홍질발은 당 현종(唐玄宗) 때 대완국(大宛國)에서 공물(貢物)로 진상한 천하 명마(名馬)의 이름이다.

홍추【鴻樞】추밀원(樞密院)을 말한 것. 임금을 가까이 모시는 요직을 말한다. 추신(樞臣). 홍(鴻)은 아칭(雅稱).

홍탕【弘湯】공손홍과 장탕.

홍택방【洪澤芳】택방(澤芳)은 홍영(洪霙)의 자(字)이다.

홍평보【洪平甫】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홍간(洪侃). 평보는 자이고, 첨의사인(僉議舍人)으로 있다가 동래 현령(縣令)으로 폄(貶)되어 왔으며 재임중 세상을 떠났다.

홍포【紅袍】조정 고위 관원이 입는 붉은색 조복(朝服)을 말한다.

홍한【紅汗】유사(遺事)에 “귀비가 매년 여름철에는 얇은 비단옷을 입고 시녀들을 시켜 부채질을 하여도 그 열(熱)이 해소되지 않고 땀이 나는데 붉고 매끄러운 가운데 향내가 많아, 혹 수건에 씻으면 그 빛깔이 홍도화(紅桃花)와 같았다.” 하였다. 또 현종유록(玄宗遺錄)에 “귀비가 마외역(馬嵬驛)에서 목매어 죽었을 때 고역사(高力士)가 목맨 비단을 가져왔는데 눈물 자국이 다 담혈색(淡血色)과 같았다.” 하였다.

홍홍【泓泓】물이 깊은 모양, 물이 맑은 모양

홍화【弘化】홍화는 서경(書經) 주관(周官)에 “소사(少師)ㆍ소부(少傅)ㆍ소보(少保)는 삼고(三孤)이니, 삼공의 다음 관원으로서 교화를 넓혀야 한다.[貳公弘化]” 한 데서 온 말로, 즉 삼공의 다음 벼슬인 찬성(贊成)에 해당하는 말이다.

홍화보【洪和輔】홍화보는 자는 경협(景協)인데 영조 때 파주 목사(坡州牧使)ㆍ동부승지ㆍ황해도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홍희【洪熙】명 나라 인종(仁宗)의 연호로, 1년 만에 인종이 죽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