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화왕【花王】모란을 가리킨다.

화왕풍간서【花王諷諫書】화왕이 풍간한 글. 설총이 장미꽃과 할미꽃의 이야기로 임금에게 풍간한 화왕계(花王戒)를 가리킴.

화요【花妖】유사(遺事)에 “처음에 목작약(木芍藥)이 있어 어느 날 갑자기 한 가지에 두 송이가 피었는데, 아침에는 짙붉고 한낮에는 짙푸르고 해질 무렵에는 노랗고 밤중에는 희어, 낮과 밤으로 그 향기롭고 고움도 각기 달랐다. 임금이 ‘이는 꽃나무의 요정(妖精)이니 의아해할 바가 아니다.’ 했다.” 하였다.

화요입벽도【花妖入壁逃】화요는 화월(花月)의 요귀(妖鬼)인데, 기생 따위들이 가까이하지 못하는 것에 비유한 말이다. 육훈(陸勳) 집이지(集異志)에 “무삼사(武三思)가 첩을 두었는데 얼굴이 절색이어서 사대부들이 모두 그를 방문하여 구경하였다. 어느 날 양공(梁公) 적인걸(狄仁傑)이 온다는 소리를 듣고, 그의 첩이 도망가버려 보이지 않았다. 그러자 삼사가 사방으로 수색해 보니, 벽틈에 숨어서 ‘나는 화월의 요귀인데, 하늘이 나를 보내어 당신을 모시고 이야기도 하고 웃으면서 지내도록 하였습니다. 그런데 양공은 일세의 정대(正大)한 사람이므로, 내가 볼 수 없습니다.’ 했다.” 하였다.

화용【華容】미인(美人)

화용월태【花容月態】꽃같은 얼굴과 달같은 자태. 아름다운 여자의 고운 얼굴과 자태를 이르는 말.

화우【火牛】등에다가 용 무늬를 그려 넣고, 양쪽 뿔에다가 병기를 매달고, 꼬리에 기름 먹인 섶을 매단 다음, 여기에 불을 붙여서 적진으로 돌진하게 하는 소를 말한다. 전국 시대 때 연(燕) 나라가 제(齊) 나라를 쳐들어와 제 나라의 모든 성이 함락되고 즉묵성(卽墨城) 하나만이 남아 있었다. 그때 전단(田單)이 즉묵성에 있으면서 이 화우를 이용해 한밤중에 연 나라 군사를 쳐 승리를 거둔 뒤, 그 승세를 타고 삽시간에 제 나라의 72성을 수복하여 거의 망해 가던 제 나라를 재건하였다. 그리고는 당시 거(莒) 땅으로 피해 있던 양왕(襄王)을 맞이하여 임치(臨淄)로 들어갔다. 《史記 卷82 田單列傳》

화우【花雨】부처가 설법을 할 때 제천에서 꽃비가 쏟아져 내렸다는 불경의 기록을 인용하여, 불문(佛門)의 신령스러운 자취를 암시하는 표현으로 쓰이게 되었다.

화우지계【火牛之計】쇠뿔에 칼을 잡아매고 꼬리에 기름 바른 갈대 다발을 매단 다음 그 소떼를 적진으로 내모는 전술.

화운【火雲】여름에 더운 기운을 머금은 붉은 구름.

화웅【畫熊】수레의 식(軾)을 곰의 형상으로 꾸민 화려한 수레를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여복지 상(輿服志上)에 “삼공(三公)과 열후(列侯)는 녹교(鹿較)ㆍ웅식(熊軾)에 검은 깃발을 단 수레를 탑승한다.”고 하였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中丞問俗畫熊頻 愛弟傳書綵鷁新”이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8 奉送蜀州柏二別駕 將中丞命 赴江陵 起居衛尙書太夫人 因示從弟行軍司馬位》

화웅권학【和熊勸學】어머니가 자식 교육에 정성을 들인 것을 비유한 말. 당(唐) 나라 때 유중영(柳仲郢)의 모친 한씨(韓氏)가 곰의 쓸개를 수종(數種)의 약재와 섞어 환(丸)을 지어서 공부하는 여러 자식들에게 주었던 데서 온 말이다.

화원【花園】고려 최영(崔瑩)이 송도(松都)의 화원(花園)에서 이성계(李成桂)에게 잡혔다.

화원【華元】춘추 시대 송(宋) 나라 우사(右師)로서, 어느날 염소를 잡아서 그 부하 군사를 먹이는데, 그 어자(御者) 양짐(羊斟)이 참여하지 못하였다. 급기야 싸우는데 양짐이 말하기를, “지난날 염소는 그대 마음대로 했으니, 오늘날 일은 내 마음대로 하겠다.” 하였음. 《左傳 宣公 二年》

화원귀【華元歸】화원(華元)은 춘추 시대 송(宋) 나라 장군으로, 침입해 온 정(鄭) 나라 군대와 맞서 싸우던 중에, 앙심을 품은 마부가 수레를 몰고 적진으로 들어가는 바람에 포로로 잡혔다가 다시 도망쳐 돌아온 고사가 있다. 《史記 卷38 宋微子世家》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