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적수공권【赤手空拳】손에 힘을 주어 보지만, 주먹에 아무 힘이 없다. 맨손과 맨주먹, 즉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다라는 뜻이다.

적수성연【積水成淵】물을 모아서 연못을 이룬다

적수주【赤水珠】적수현주(赤水玄珠)라는 책을 말한다. 이 책은 명 나라 손일규(孫一奎)가 지었는데 모두 30권이며, 한(寒)ㆍ열(熱)ㆍ허(虛)ㆍ실(實)ㆍ표(表)ㆍ리(裏)ㆍ기(氣)ㆍ혈(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적수현주(赤水玄珠)라고 한 것은 “황제(黃帝)가 적수(赤水)에서 놀다가 현주를 잃었다.”는 장자(莊子)의 말에서 취한 것이라 한다. 《四庫提要 子 醫家類》

적수주【赤水珠】황제(黃帝)가 적수(赤水)에서 현주(玄珠)를 잃어버렸는데, 아무도 찾지 못하고 무심(無心)을 뜻하는 상망(象罔)이 찾아내었다는 이야기가 장자(莊子) 천지(天地)에 실려 있다.

적시강담구【迹是江潭舊】조정에서 방축(放逐)되었다는 말이다. 초(楚) 나라 굴원이 일단 쫓겨난 다음에 강담에서 노닐고 택반에서 읊조렸다.[屈原旣放 游於江潭 行吟澤畔]는 초사(楚辭) 어부(漁父)의 글에서 비롯된 것이다.

적신【積薪】나무를 쌓는 데 있어 나중에 쌓는 것을 위에 올려놓듯이, 나중에 벼슬한 자가 먼저 벼슬한 사람보다 중용되어 먼저 벼슬한 사람은 항상 미관 말직에 있음을 한탄한 것인데, 한(漢) 나라 때 급암(汲黯)이 임금에게 아뢰기를 “폐하께서 뭇 신하들을 쓰는 것은 마치 나무를 쌓는 것과 같아서 나중에 벼슬한 자가 윗자리에 있게 됩니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漢書 汲黯傳》

적신중【積薪中】벼슬하다. 한 무제(漢武帝)가 사람을 쓰는데 먼저 벼슬한 사람보다 뒤에 벼슬한 사람을 높여서 쓰니 급암(汲黯)이, “폐하의 사람 쓰는 것은 장작을 쌓는 것과 같아서 뒤에 온 자가 위에 올라갑니다.” 하였다.

적신탄【積薪歎】장작을 쌓는 데 있어 나중에 쌓는 것을 위에 올려 놓듯이, 나중에 벼슬한 자가 전임자(前任者)보다 중용되고, 전임자는 항상 미관말직에 있게 되어 중용되지 못함을 한탄하는 일을 말한다. 《史記 汲黯傳》

적안【赤岸】적안은 전설상의 지명으로, 매승(枚乘)이 지은 ‘칠발(七發)’에 “적안을 뛰어넘어 부상을 청소한다.[凌赤岸篲扶桑]”라는 말이 나오는데, 두보(杜甫)의 시에 “적안의 물은 은하와 통하고, 그림 속의 구름 기운 용을 따르네.[赤岸水與銀河通 中有雲氣隨飛龍]”라는 구절이 보인다. 《杜少陵詩集 卷9 戱題王宰 山水圖歌》

적야랑【太白飄然謫夜郞】이백(李白)이 역적(逆賊) 영왕(永王) 인(璘)의 부하로 있었으므로, 인이 패한 뒤에 야랑(夜郞)으로 귀양갔다.

적여구산【積如丘山】산과 같이 많이 쌓임.

적연부동【寂然不動】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상(上)에 “생각도 없이 함도 없이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일단 감응하면 천하의 모든 일에 두루 통한다.[無思也 無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라는 말이 있다.

적외민【籍外民】호적에 누락된 백성. 곧 조세를 내지 않는 백성을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