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조후【條侯】한 문제(漢文帝) 때의 명장 주아부(周亞夫)의 봉호이다.

조후견벽야래경【條候堅壁夜來驚】조후(條侯)는 한(漢) 나라 문제(文帝)ㆍ경제(景帝) 때의 장군 주아부(周亞夫)의 봉호이다. 경제 때에 앞서 제왕(諸王)들로 봉해진 오(吳)ㆍ초(楚)ㆍ조(趙)ㆍ교서(膠西)ㆍ교동(膠東)ㆍ치천(菑川)ㆍ제남(濟南) 등 7개국이 강력한 군대로써 서로 연합하여 모반하자, 주아부가 태위(太尉)로서 명을 받고 그들을 정벌하러 나갔는데, 이 때 주아부는 그들에게 먼저 싸움을 걸지 않고 성벽(城壁)을 견고히 하여 지키고만 있던 가운데, 어느 날 밤에 주아부의 군중(軍中)이 경동(驚動)하여 내란(內亂)이 일어났던 데서 온 말이다. 그런데 그 내란은 이내 진정되었고, 끝내 주아부의 군사가 7개국을 크게 격파하여 평정했었다. 《史記卷 五十七》

조훈【祖訓】조훈은 조사(祖師)의 교훈.

조흘강【照訖講】조흘강은 과거시험에 응하는 유생에 대하여 성균관에서 먼저 그의 호적을 대조한 뒤에 유교 경전의 하나인 소학(小學)을 외워바치게 하는 시험이다.

조희【曹喜】후한(後漢) 때 사람. 전서(篆書)를 잘 썼으며 비서랑(秘書郞)을 지냈음.

족【族】뼈와 근육 등이 모여서 얽혀 있는 곳.

족기성명【足記姓名】항우(項羽)가 일찍이 글을 배웠으나 되지 않자, 말하기를 “글은 성명이나 기록할 정도면 된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史記 項羽本記》

족매태【簇莓苔】이끼가 파릇파릇 돋아남.

족모찬삼【足暮餐三】송(宋) 나라 저공(狙公)이 원숭이에게, 상수리를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 주겠다고 하니 노여워하므로, 그러면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 주겠다고 하니 원숭이가 만족해하였다 한다.

족어양【足於良】한(漢) 나라 장량(張良)이 고조(高祖)를 도와서 천하를 평정한 뒤에 말하기를, “세 치[三寸]되는 혀로써 제왕(帝王)의 스승이 되고, 만호후(萬戶侯)를 봉하였으니 양(良)에게 만족하다. 이제는 인간사를 버리고 신선을 배우겠다.” 하였다.

족일녕순의봉착【足逸寧循蟻封窄】재능이 훌륭하여 곧 출세하리라는 뜻. 진서(晉書) 권75에 “왕잠(王湛)이 조카 제(濟)와 같이 말을 시험할 때 의봉(蟻封)으로 가서 말을 달려 돌았는데, 그가 지적한 말은 까딱 없었고 제가 타던 말은 지쳐 넘어졌다.” 한 데서 인용한 말이다.

족자【族子】겨레붙이로서 유복친(有服親)이 아닌 조카뻘 되는 사람.

족포【族庖】일반적인 소잡이.

존당【尊堂】살아 계신 남의 아버지를 일컬음.

존로【尊盧】태고(太古) 시대의 제호(帝號)이다.

존로마【存老馬】자신을 동정해 주는 사람이 하나도 없을 것이라는 말이다. 전자방(田子方)이 길을 가다가 집에서 버림받은 늙은 말을 보고는 “힘 좋을 때 써먹다가 늙었다고 내버리다니, 이런 짓을 인자(仁者)는 차마 하지 못하는 법이다.” 하고, 속백(束帛)으로 대속(代贖)해 주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韓詩外傳 卷8 第32章》

존몰애영【存沒哀榮】논어(論語) 자장(子張)에 “살아 계실 때에는 모두 영광스럽게 여기고 돌아가셨을 때에는 애통해 한다.[其生也榮 其死也哀]”는 말이 있다.

존방불【存髣髴】한때 희미해서 보이지 않는 수도 있다. 그러다가 마음이 뛰놀아 마치 물이 끓는 것과 같다.

존백【尊伯】상대방의 형님을 말함.

존상서【尊尙書】상서인 남의 부친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