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중용【中庸】주자(朱子 朱熹)는 ‘中’은 ‘치우치지도 않고 기울어지지도 않고, 지나치거나 모자라는 일이 없는 것’을 이르고, ‘庸’은 ‘평상(平常 항상 변하지 않고 일정한 항구성)’을 말로, [中者不偏不倚無過不及之名, 庸平常也.] 곧, 지나침과 모자람이 없고 항구성을 지니고 변함이 없는 성인(聖人)의 도가 곧 중용이라는 것이다. 중용의 ‘中’은 무조건 중간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어떤 경우이건 그때그때 누구에게나 가장 알맞고 모든 일에 가장 적절한 도리. 그것이 곧 ‘中’이다. ‘庸’은 언제 어디에나 있고 영원 불변하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용’은 순간적인 진리인 듯하면서도 우주의 근본이 되는 영원무궁한 진리인 것이다. 곧 ‘중용’의 도는 가장 쉬운 길인 듯하면서도 상당한 덕(德)의 수양이 없이는 근처에도 가기 힘든 도인 것이다.

중용【中庸】중은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은 것이고 용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 유가에서 최고의 도덕 표준으로 여김.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중용의 도덕은 바로 가장 높은 것이다.[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하였음.

중용【仲容】진(晉) 나라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완함(院咸)의 자인데, 완적(院籍)의 조카로 재주가 뛰어나고 호쾌하여 완씨 집안의 중심 인물로 칭송받았다.

중용수구【中庸首句】중용 제일장의 첫 구절인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 한다.[天命之謂性]" 는 것을 가리킨 말이다.

중용지도【中庸之道】마땅하고 떳떳한 도리. 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평범함.

중울거【仲蔚居】사람 키를 넘을 정도로 쑥대가 우거져 있으리라는 말이다. 후한(後漢) 장중울(張仲蔚)이 쑥대가 우거진 집에 몸을 숨기고 가난하게 살면서 수양했던 고사가 있다. 《高士傳 中 張仲蔚》

중원【中元】백중절(百中節)인 음력 7월 15일을 가리킨다.

중원【中原】충주(忠州)의 옛 이름이다.

중원록【中原鹿】진(秦)나라 간신(姦臣) 조고(趙高)가 임금에게 사슴을 몰고 와서 말[馬]이라 속였다. 그 뒤에 변사(辯士) 괴철(蒯徹)이, “진나라가 사슴을 놓쳤으매 여러 사람들이 쫓는데 발이 날랜 자가 먼저 얻는다.” 하였다. 이것은 조고(趙高)의 사슴에 관한 이야기를 인용하여 진나라가 나라를 잃은 데에 비유하였다.

중원축록【中原逐鹿】중원(中原)은 중국(中國) 또는 천하(天下)를 말하며 축록(逐鹿)은 한 마리 사슴을 잡으려고 서로 경쟁한다는 말로 영웅들이 서로 다투어 제왕의 자리나 어떤 지위를 얻고자 함을 뜻한다.

중유【仲由】중유(仲由)의 자는 자로(子路)인데 공자의 제자이다. 중유는 경솔한 한편 충직하였다.

중유재【仲由材】중유는 공자(孔子)의 제자로 자(字)는 자로(子路), 취재는 취할 만한 재질을 말한다. 공자는 “내가 뗏목을 타고 바다로 가려고 하는데 나를 따를 자는 중유일 것이다.” 하였다. 자로는 이 말을 듣고 기뻐하자, 공자는 “중유는 용맹을 좋아하는 것은 나보다 낫지만 취재할 것이 없다.” 하였다. 《論語 公冶長》

중윤【仲胤】김기종(金起宗)의 자(字)이다.

중융【中庸】치우침이나 과부족이 없이 떳떳하며 알맞은 상태나 정도

중은【中隱】대은(大隱)은 도회지에 숨고 중은은 한산한 관직 속에 숨고 소은(小隱)은 산속에 숨는다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하급 관직에 있는 것을 뜻한다. 《長慶集 卷五十二 中隱詩》

중인【中人】권세 있는 귀행자(貴幸者)를 말한다. 진서(晉書) 이밀전(李密傳)에 “이밀이 조정에 아는 사람이 없어서 마침내 한중태수(漢中太守)로 좌천되어 동당(東堂)에서 전별연(餞別宴)을 벌였는데, 무제(武帝)가 부(賦)를 짓게 하였다. 그 부의 끝부분에 ‘사람들이 말하기를 「연줄이 있어야 한다. 관(官)에 잘 아는 귀행자[中人]가 없으면 초야로 돌아가는 것이 낫다」하나, 훌륭한 임금이 위에 있으니 이 말이 어찌 사실이랴’ 하였다.” 했다.

중인환시【衆人環視】많은 사람들이 둘러서서 봄.

중일【中日】사흘 중의 ‘가운데 날’의 뜻이다. 간지(干支)에 인(寅)ㆍ신(申)ㆍ사(巳)ㆍ해(亥)가 드는 날을 초일(初日)이라 하고 자(子)ㆍ오(午)ㆍ묘(卯)ㆍ유(酉)가 드는 날을 중일이라 하고 진(辰)ㆍ술(戌)ㆍ축(丑)ㆍ미(未)가 드는 날을 종일(終日)이라 하며, 군문(軍門)에서 초일에는 연습하고 중일에는 시사(試射)한다는 등 규례를 둔다. 또, 중일시사(中日試射) 등에서 입격(入格)한 자에게는 직부전시(直赴殿試) 등 상주는 규례가 있다.

중임석【重任石】큰 돌을 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