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노련【魯連】노중련(魯仲連)으로, 제(齊) 나라의 장수이다. 일찍이 조(趙) 나라에 머물러 있을 적에 위(衛) 나라에서 진(秦) 나라 왕을 황제(皇帝)로 추대하여 군대를 철수시키게 하려고 하자, 노중련은 진 나라가 무도한 나라임을 역설하면서, 진 나라가 칭제(稱帝)한다면 자신은 동해(東海)에 빠져 죽을 것이라고 하여 중지시켰다. 또 제 나라의 전단(田單)이 연(燕) 나라의 요성(聊城)을 오래도록 공격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하자, 노중련이 글을 써서 화살에 묶어 성 안으로 쏘아 보내 내분이 일어나게 해서 성을 함락시켰다. 《史記 卷83 魯仲連列傳》

노련기제조【魯連棄齊組】노중련은 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고사(高士)로서 전단(田單)의 천거에 의하여 벼슬이 내려졌으나 나가지 않고 끝내 바닷가에 은거하다가 생을 마쳤다. 《史記 卷八十三》

노련명【魯連名】노중련(魯仲連)의 명예. 제(齊) 나라 사람인 노중련이 일찍이 조(趙) 나라에 머무를 적에, 위(魏) 나라에서 진(秦) 나라 왕을 황제(皇帝)로 추대하여 조 나라에 있던 진 나라의 군대를 철수시키려고 하자, 노중련이 평원군(平原君)에게 진 나라가 무도한 나라임을 역설하면서, 진 나라가 칭제(稱帝)한다면 자신은 동해(東海)에 빠져 죽을 것이라고 하여 중지시켰다. 《史記 卷83 魯仲連列傳》

노련범벽해【魯連泛碧海】노중련(魯中連)은 전국(戰國) 시대의 고사(高士)로, 위(魏)와 조(趙)가 진(秦)을 제(帝)로 추대하려 한다는 말을 듣고서, 위나라의 사자(使者) 신원연(新垣衍)을 찾아보고, “만일 진(秦)을 제(帝)로 추대한다면, 나는 동해(東海)에 빠져 죽을지언정 진나라 백성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하였다.

노련유적【魯連遺迹】전국 시대 때 제(齊) 나라의 고사(高士) 노중련(魯仲連)이, 진(秦) 나라에서 황제를 자처하는 꼴을 보기보다는 차라리 동해에 빠져 죽겠다.[蹈東海而死]고 말한 고사가 있다. 《史記 卷83》

노로【勞勞】몹시 지친 모양, 이별을 아쉬워 하는 모양, 드문드문한 모양, 먼 모양, 노고에 보답함, 공로를 포상함

노로가【勞勞歌】이별의 노래. 중국 강소성(江蘇省)강녕현(江寧縣)남쪽에 노로정(勞勞亭)이 있는데, 옛날 그곳은 송별하던 장소로서 떠나는 사람을 위해 노래를 부르며 전별하였다. 《事文類聚》

노록반생【轤轆半生】도르래. 영고 성쇠(榮枯盛衰)가 무상한 인생살이에 비유한 것이다.

노론【魯論】논어(論語)를 말한다. 노논어(魯論語)ㆍ제논어(齊論語)ㆍ고문논어(古文論語) 등 3가(家)의 논어 중에서 현재 전해지는 논어는 노논어에 기초한 것이다.

노론【魯論】금문 논어(今文論語)의 일본(一本). 논어(論語)에 원래 제론(齊論)ㆍ고론(古論)ㆍ노론(魯論) 3종이 있었는데, 《노론》은 노인(魯人)이 전한 것으로 후세에 논어(論語)를 가리키는 말로 되었다. 《漢書 藝文志》

노론분이반【魯論分二半】논어(論語)에 노론(魯論)과 제론(齊論)이 있는데, 지금 전하는 것은 노론(魯論)이다. 송나라 조보(趙普)가 항상 논어를 읽으면서 송 태조(宋太祖)에게 말하기를, “신이 논어(論語) 반부(半部)로서 폐하를 보좌하여 천하를 얻었고, 다시 반부로서 폐하를 보좌하여 천하를 다스리겠습니다.” 하였다.

노료【嫽嫽】외조모

노룡【盧龍】중국 하북성의 고을 이름. 명 나라 때는 영평부의 관할 지역이다.

노류장화【路柳墻花】길 가의 버들과 담 밑의 꽃. 누구든지 쉽게 만지고 꺾을 수 있다 하여 기생(妓生)을 의미한다.

노릉【魯陵】노산군(魯山君)즉 단종(端宗)의 능(陵).

노릉견【魯陵鵑】노릉은 단종(端宗)을 가리킨 말. 세조(世祖)는 단종을 몰아내어 영월(寧越)로 연금(軟禁)시키면서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降等)하였다. 두견새는 일명 자규(子規)라고도 한다. 단종은 영월의 자규루(子規樓)에서 두견새가 구슬피 울자 “달 밝은 밤 자규새는 구슬피 우는데 시름겨워 자규루에 기대노라. 네 울음 슬퍼 내 마음 괴롭구나 네 소리 없으면 이내 시름 없을 것을. 이 세상 괴로운 사람에게 말하노니 부디 춘삼월에 자규루에 오르지 마오.[月白夜蜀魂啾 含愁情倚樓頭 爾啼悲我聞苦 無爾聲無我愁 寄語世上勞苦人 愼莫登春三月子規樓]" 하였다. 즉 이곳에서 울던 두견새를 가리킨 것이다.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