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필사【拂士】임금을 잘 보필할 만한 현사(賢士)를 말한다.

필삭【筆削】필삭은 필즉필 삭즉삭(筆則筆 削則削)의 준말로 역사를 편찬함에 있어 쓸 만한 것은 쓰고 삭제할 만한 것은 삭제하는 것을 말한다. 공자는 노사(魯史)를 가져다가 이 중에서 기재할 것은 기재하고 삭제할 것은 삭제하여 노 은공(魯隱公) 원년에서부터 애공(哀公) 14년까지 2백 42년 동안의 일을 정리하여 춘추(春秋)를 지었다. 그리하여 기강을 바로잡았다.

필상채화【筆上綵花】인조 꽃은 당 중종(唐中宗)이 입춘에 근신들에게 조화 한 송이씩 나누어 줄 때 무평일(武平一)의 아름다운 문장에 탄복하여 그에게는 한 송이를 더 내려줬다는 고사가 있다.

필생화【筆生花】개원 천보유사(開元 天寶遺事)에 “이태백(李太白)이 소시에 평소 사용하는 붓머리에 꽃이 핀 것을 꿈꾼 뒤로부터 천재가 더욱 드러나 이름이 천하에 알려졌다.” 하였다.

필선고기심지【必先苦其心志】반드시 먼저 그의 마음과 뜻을 고달프게 한다는 뜻으로, 앞으로 큰 일을 할 사람은 그 큰 일을 감당해 나갈 만한 굳은 의지를 갖기 위해 먼저 심신단련에 필요한 고행을 하게 됨을 이름.

필성【畢星】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한 별자리인데 여름철에는 새벽에 떠오르는 것으로 사료된다. 송 나라 범성대(范成大)의 《石湖集》 卷十六에 “필성의 별자리에 달이 있을 때 서쪽에서 바람이 일어났다네.[凡當天畢宿 風自少女起]" 하였다.

필세서대육【筆洗西臺肉】글씨를 잘 쓴다는 말. 진(晉) 나라 색정(索靖)이 상서랑(尙書郞) 벼슬을 하였는데, 장지(張芝)의 글씨를 배워서 그의 육기(肉氣)를 얻었다. 그런데 여기서는 글씨가 육기가 없이 웅건한 것을 말한다.

필여연【筆如椽】진(晉) 나라 왕순(王珣)이 꿈속에서 서까래와 같은 큰 붓을 받고는, 크게 문장 실력을 발휘할 날이 오리라고 혼자 짐작하였는데, 과연 얼마 지나지 않아 효무제(孝武帝)가 죽고 나서 그가 애책(哀冊)과 시의(諡議) 등의 글을 모두 그가 짓게 되었다 한다. 《晉書 王珣傳》

필연소【筆硯燒】진대(晉代)의 저명한 문학가인 육기(陸機)의 글을 최군묘(崔君苗)가 보고는 스스로 부끄러워한 나머지 자신의 필연(筆硯)을 불 속에 집어넣어 버리려고 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晉書 卷54 陸機列傳》

필영화금몽유유【筆縈花錦夢悠悠】전진(前秦)의 소혜(蘇蕙)가 유사(流沙) 지방에 가 있는 남편 두도(竇滔)를 그리워하며 비단을 짜서 회문선도시(回文璿圖詩)를 지어 보냈는데, 이것이 회문시의 효시라고 한다.

필운【弼雲】필운산 즉 인왕산(仁王山)의 별칭으로 서울 도성을 가리킨다. 《新增東國輿地勝覽 漢城府》

필운로【弼雲老】호가 필운인 이항복(李恒福)을 가리킨다.

필원구개신지도【筆苑舊開新智島】영조(英祖) 연간의 서예가요 양명학(陽明學)에 밝았던 이광사(李匡師)가 나주(羅州) 벽서사건(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처음 회령(會寧)으로 유배되었는데, 그의 문필을 좋아하는 많은 선비들이 모여들자 그를 다시 진도(珍島)로 이배하였다. 이광사는 그 배소에서 생애를 마칠 때까지 후학 지도에 몰두하였음. 《東國文獻筆苑編》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