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사조【姒姚】조사(姚姒)를 거꾸로 쓴 것으로, 사(姒)는 하우(夏禹)의 성(姓), 조(姚)는 우순(虞舜)의 성, 순(舜)ㆍ우(禹)성군(聖君) 때 말씀과 글.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 “위로 조와 사를 엿보건대 아득히 가이 없다[上規姚姒 渾渾無涯].” 하였다.

사조【謝眺】남제(南齊) 사람. 자는 현휘(玄暉)임. 시인(詩人). 특히 오언시(五言詩)를 잘 지어 시가 청아하고 아름다웠으며 글씨도 잘 썼음. 일찍이 선성 태수(宣城太守)로 있을 적에 산 남쪽에 높은 누대(樓臺)를 짓고 앞 산의 경치를 감상하였으므로, 후대에 이 누대를 사공루(謝公樓), 사루(謝樓)라 하고 그 산 이름을 사공산(謝公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고사가 있다. 《南齊書 卷47 謝眺列傳》 참고로 이백(李白)의 시 제동계공유거(題東溪公幽居)에 “청산과 가까운 집 사조와 한가지요, 푸른 버들 드리운 문 도연명과 흡사하네.[宅近靑山同謝朓 門垂碧柳似陶潛]”라는 표현이 있다.

사조【射潮】북몽쇄언(北夢瑣言)에 “항주(杭州)에 해마다 조수가 밀려들므로 오월왕(吳越王) 전유(錢鏐)가 궁노(弓弩)를 설치하였다가 조수가 밀려들 적에 쏘니, 조수가 물러가 육지가 되었다.” 하였다.

사조【射鵰】북제서(北齊書) 곡률우전(斛律尤傳)에 “곡률우가 사냥하다가 한 마리의 큰 새를 발견하고 쏘아 그 머리를 명중시켰는데 마치 수레바퀴 같은 물체가 빙빙 돌면서 떨어졌다. 바로 보라매였다. 형자고(邢子高)가 보고 이는 옛날에 보라매 쏘던 사람의 솜씨이다.’고 감탄했다.” 하였다.

사조【謝祖】진(晉) 나라 때 난리를 평정한 명장인 사현(謝玄)과 조적(祖逖)을 지칭한다.

사조구【謝眺句】이백(李白)의 “푸른 산에 가까운 집 사조와 같고, 푸른 버들 드리운 문 도잠과 비슷하네.[宅近靑山同謝眺 門垂碧柳似陶潛]”라는 구절처럼 《李太白集 卷25 題東溪公幽居》 집 주위의 멋진 산 경치를 표현할 때에는 으레 사조를 떠올리곤 하는데, 이는 남조 제(齊)의 시인인 사조가 종산(鍾山) 아래에다 별장을 지어 놓고는, ‘유동전(遊東田)’이라는 시를 지은 고사에서 유래하는 바, 그 시의 말구(末句)에 “향기로운 봄 술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푸른 산의 성곽만 머리 돌려 바라보네.[不對芳春酒 還望靑山郭]”라는 표현이 나온다. 《文選 卷22》

사조별【四鳥別】모자(母子)가 서로 이별함. 네 마리의 새끼 새가 그 어미를 떠난다는 고사에서 비롯됨.

사조산【謝脁山】남제(南齊) 때의 시인(詩人) 사조(謝脁)가 일찍이 청산(靑山) 아래 집을 짓고 살았으므로 이를 사공산(謝公山)이라 이름한 데서 온 말인데, 이백(李白)의 시에는 “사조가 죽고 나니 청산이 비어버렸네[謝脁已沒 靑山空].”라고도 하였다.

사조산【謝朓山】사조는 남제(南齊)의 시인으로, 종산(鍾山) 아래 동산에 별장을 지어 놓고 노닐면서 ‘유동원(遊東園)’이라는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매우 섬세한 감각으로 청신(淸新)한 시를 지어 이백(李白)으로부터 극찬을 받았는데, 이백의 시 ‘제동계공유거(題東溪公幽居)’에 “청산에 가까운 집 사조와 같고, 푸른 버들 드리운 문 도잠과 흡사하네.[宅近靑山同謝朓 門垂碧柳似陶潛]”라는 표현이 있다.

사조선성【謝朓宣城】남제(南齊)의 시인이었던 사조(謝脁)는 선성 태수(宣城太守)로 있으면서 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 시가 몹시 청아하고 아름다웠다.

사조위성증만리【射鵰威聲曾萬里】사조(射鵰)는 물수리를 쏘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뛰어난 활솜씨를 말함. 한(漢) 나라 때의 명장 이광(李廣)이 일찍이 흉노(匈奴)와 싸울 적에 이광을 따라갔던 중귀인(中貴人)이 흉노 3인의 사격을 받아 상해를 입고 돌아오자, 이광이 “이들은 반드시 물수리를 떨어뜨릴 만한 활솜씨가 있는 자들이다.” 하고는, 곧장 그 흉노 3인을 추격하여 2인은 사살하고 1인은 생포함으로써 위엄을 크게 떨쳤던 고사이다. 《史記 卷一百九》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