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삼삼【三三】바둑판의 가로세로 각각 제3선이 만나는 네 귀의 점

삼삼【三三】불교(佛敎)에서 말하는 세 가지 삼매(三昧), 즉 공삼매(空三昧)ㆍ무상삼매(無想三昧)ㆍ무원삼매(無願三昧)를 말한다.

삼삼【三三】삼삼(三三)은 곧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구궁(九宮)을 의미한다.

삼삼【毿毿】털이 긴 모양, 버들가지 같은 것이 가늘고 길게 늘어진 모양

삼삼【參參】빽빽이 선 모양

삼삼경【三三徑】삼삼경은 한(漢) 나라 때 은사(隱士)인 장후(蔣詡)가 자기 마당에 세 길을 내놓고 송(松)ㆍ국(菊)ㆍ죽(竹)을 심었다는, 즉 삼경(三徑)과 같은 뜻이다.

삼상【三上】구양수(歐陽修)가, “시를 지을 때는 대개 베개 위ㆍ뒷간ㆍ말 위에서 생각한다.” 하였다.

삼상【三湘】상강(湘江) 유역과 동정호(洞庭湖) 일대를 지칭하는 말.

삼상【參商】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는 뜻이다. 삼성(參星)은 서남쪽에 있고 상성(商星)은 동쪽에 있어서 서로 방향이 달라 동시에 뜨는 일이 없다. 좌전(左傳) 소공(昭公) 원년(元年)에 “옛날 고신씨(高辛氏)가 두 아들이 있었는데, 형은 알백(閼伯), 아우는 실침(實沈)으로 광림(曠林)에 거하여 서로 우애하지 못하고 날마다 싸움을 벌였다. 이에 상제(上帝)는 괘씸하게 여겨 알백을 상구(商邱)에 옮기니 이것이 상성이 되었고, 실침을 대하(大夏)에 옮기니 이것이 삼성이 되었다.” 하였다.

삼상【三上】시문을 지을 때 생각이 잘 떠오른다는 세 곳. 곧 말을 탔을 때[馬上], 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枕上], 뒷간에 갔을 때[廁上]를 말함.

삼상【三湘】중국 장사부(長沙府)에 있는 소상(瀟湘)ㆍ증상(蒸湘)ㆍ원상(沅湘)의 세 강을 말한다.

삼상【三湘】중국 호남(湖南)의 상향(湘鄕), 상담(湘潭), 상음(湘陰)으로, 상강(湘江)의 유역 및 동정호(洞庭湖) 일대 지방을 가리킨다.

삼상구인난【三湘舊紉蘭】조정에서 쫓겨나 불우하게 보낼 적에도 지조를 잃지 않았다는 말이다. 초(楚) 나라 굴원(屈原)이 조정에서 방축(放逐)된 뒤 상강(湘江) 언덕을 거닐며 비가(悲歌)를 읊조렸던 고사가 있다.

삼상리【參商離】서남방 신위(申位)에 있는 삼성(參星)과 동방 묘위(卯位)에 있는 상성(商星)처럼 멀리 떨어진 채 만나지 못하는 것을 뜻한다.

삼상별【參商別】삼성(參星)과 상성이란 두 별 이름. 삼성은 서남방 신(申)의 위치에 있고, 상성은 동방 묘(卯)의 위치에 있어서 서로 보이지 않는다. 사람이 서로 흩어져 만나지 못한다는 비유이다.

삼상서【三上書】한유(韓愈)의 글에 “三上書去官”이라는 표현이 있다.《唐正議大夫尙書左丞孔公墓誌銘》 벼슬을 그만두고 떠나는 이를 전송한 시의 서(序)에도 “三獻書不報長揖而去”라는 구절이 있다.《韓昌黎集 補遺 送張道士 幷序》

삼색도화【三色桃花】인조 때 이조 판서(吏曺判書)인 남이웅(南以雄)이 관리(官吏)를 전주(銓注)할 때 반드시 서인(西人)ㆍ남인(南人)ㆍ북인(北人)의 삼색인(三色人)을 삼망(三望)에 올렸으므로 당시에 그것을 가라켜 ‘삼색도화’라고 하였다.

삼색리【三色李】진(晉) 나라 때 부현(傅玄)의 이부(李賦)에 “……방릉(房陵)의 표청리(縹靑李 옥색 오얏)는 한 나무에 세 가지 색깔의 오얏이 열리고 맛과 이름이 각기 다르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