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삼천【三天】도교(道敎)에서 말하는 신선이 사는 곳. 옥청(玉淸)ㆍ상청(上淸)ㆍ태청(太淸)을 삼청경(三淸境)이라 하며 또 삼천(三天)이라고도 한다.

삼천【三遷】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하여 세 번 이사한 고사를 가리킨다. 맹자의 어머니가 처음에는 공동묘지 곁에서 살았는데 맹자가 장사지내는 흉내를 내었다. 이에 다시 시장으로 이사하였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었다. 이에 다시 학교 근방으로 옮겼더니, 그제서야 맹자가 부지런히 공부하였다고 한다. 《列女傳 鄒孟軻母》

삼천【三川】부주(鄜州)의 현(縣) 이름으로, 화수(華水), 흑수(黑水), 낙수(洛水)의 세 강물이 모이는 곳이라서 이렇게 이름하며, 안녹산(安祿山) 난리에 두보(杜甫)가 숨으러 갔던 곳이다.

삼천【三天】삼천은 불교에서 말하는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이다.

삼천【參天】양지는 지수(地數)인 2를 말하고 삼천(參天)은 천수(天數)인 3을 말한 것으로, 지수 2와 천수 3을 서로 곱하면 6[六同]이 된다.

삼천【三川】의주(義州) 앞에 있는 압록강(鴨綠江)의 별칭이 삼강(三江)이다.

삼천결자도【三千結子桃】훌륭한 물건은 오랜 세월이 필요하다는 뜻. 신선의 세계에 3천 년 만에 한 번씩 열매를 맺는 반도(蟠桃)가 있는데 이것을 먹으면 장수(長壽)를 누린다고 한다.

삼천경【三千境】화엄경(華嚴經)에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도(道)를 구하여 남방으로 다니며 53명의 선지식(善知識)을 방문하였다. 수희(隨喜)는 남의 착함을 따라서 기뻐한다는 뜻이다.

삼천계【三千界】삼천 세계는 삼천 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는 불가의 용어로, 온 천하를 뜻한다.

삼천대계【三千大界】무량무변한 세계를 말한다. 불설(佛說)에 의하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 1천을 합하면 소천세계(小千世界)가 되고, 소천세계 1천을 합하면 중천세계(中千世界)가 되고, 다시 중천세계 1천을 합하면 대천세계(大千世界)가 되어 총합 삼천세계(三千世界)가 된다는 것이다.

삼천도【三千桃】선계(仙界)에 있다고 하는, 3천 년 만에 꽃이 한 번 피고 열매가 한 번 맺는 복숭아나무를 말한다.

삼천독【三千牘】임금에게 올리는 장편의 상소문. 뛰어난 문장력을 비유한 말. 한 무제(漢武帝) 때 동방삭(東方朔)이 처음 장안(長安)에 들어가 상서(上書)할 적에 모두 3천 통의 서찰을 올리어, 공거령(公車令) 두 사람이 겨우 맞들어 임금에게 올렸는데, 임금은 무려 두 달이 걸려서야 그 서찰을 다 읽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史記 卷一百二十六》

삼천리【三千履】춘추 때 초(楚) 춘신군(春申君) 문객 3천인 중에 상객(上客)은 모두 구슬 신[珠履]을 신었다.

삼천맹모【三遷孟母】맹자(孟子) 어머니의 삼천지교(三遷之敎)를 말한다.

삼천세계【三千世界】불경에서 이 우주계를 삼천세계(三千世界)라 하는데,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가 천으로 된 것을 소천세계(小千世界), 소천세계가 천(千)으로 된 것을 중천세계(中千世界), 중천 세계가 천으로 된 것을 대천세계(大千世界)라 한다.

삼천심여덕개동【三千心與德皆同】주 무왕(周武王)이 주(紂)를 칠 적에 “힘이 같을 적엔 덕(德)으로 헤아리고 덕이 같을 적엔 의(義)로 헤아린다. 주(紂)는 억만 명의 신하가 있지만 억만 명의 마음이 각기 다른데, 나에게 있는 3천 명의 신하는 모두 한 마음이다.” 한 말에서 나온 것이다. 《書經 泰誓》

삼천약수【三千弱水】산해경(山海經)에 “서해(西海)의 남과 유사(流沙)의 가에 큰 산이 있어 이름은 곤륜산이고 그 아래는 약수가 감돌았다.” 하였고, 그 주에 이르기를 “그 물은 홍모(鴻毛)도 이기지 못한다.” 하였음.

삼천육백조【三千六百釣】태공 망(太公望)이 나이 80에 위수(渭水)에 낚시를 드리우기 시작하여 그로부터 10년 후인 90세에야 비로소 문왕(文王)을 만났다고 한 데서 온 말임.

삼천이【三千履】주리(珠履)의 자리. 구슬로 꾸민 신을 신은 빈객, 즉 상등의 빈객을 말한다. 《史記 春信君傳》

삼천죄대【三千罪大】삼천 가지 죄 가운데 불효가 제일 큰 죄라는 것을 말한다.

삼천지교【三遷之敎】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의 교육을 위하여 묘지 앞, 시장거리, 서당 앞으로 세 번 거처를 옮겼다는 고사로 생활 환경이 교육에 있어 큰 구실을 함을 말한다.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