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탄구가【彈緱歌】좀 더 나은 대우를 받기를 원하며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호소하는 일종의 희망가로, 보통 탄협가(彈鋏歌)로 많이 쓴다. 전국 시대 제(齊) 나라 풍훤(馮諼)이 손잡이를 노끈[蒯緱]으로 감은 칼을 두드리며 맹상군(孟嘗君)에게 처우 개선을 요구했던 고사가 있다. 《史記 卷75》

탄금개고각【彈琴開古閣】공자의 제자 자천(子賤)이 선보(單父)에 재(宰 守令)가 되어 한가로이 거문고를 타면서 백성을 잘 다스렸다.

탄로【灘老】호가 대탄자(大灘子)인 정백창(鄭百昌)을 가리키는데, 그의 자는 덕여(德餘)이다.

탄묵수【呑墨水】글을 짓기로 하였다가 짓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먹물을 마시게 하였다.

탄묵수【呑墨水】북제(北齊)의 과시법(課試法)에 답안이 너무 부진한 자에게는 먹물 1되를 마시게 했다. 《通典 選擧典》

탄복【坦腹】배를 반듯이 펴고 한가히 누웠음을 말한다. 진(晉) 나라 왕희지(王羲之)의 고사로 사위의 대명사로 쓰이는 말이다. 진(晉)의 치감(郗鑒)이 문생을 시켜 명문가인 왕도(王導)의 집안에서 사윗감을 고르게 하였더니, 왕씨의 자제들이 모두 정장을 하고 조심하며 자신을 잘 보이기 위해 애를 썼으나 유독 희지(羲之)만은 동상(東床)에서 탄복하고 누워 있었다. 이것을 들은 치감은 “이 사람이야말로 훌륭한 사윗감이다.” 하고 사위로 삼았다. 《晉書 王羲之傳. 世說新語 雅量》

탄성물복도【呑聲勿復道】두보(杜甫)의 시에 “소리를 삼키고서 다시 말하지 말지어다, 조물의 뜻 알 수 없이 아득할 따름이니.[呑聲勿復道 眞宰意茫茫]”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7 遣興二首》

탄자와【彈자渦】소식시서(蘇軾詩序)에 “봉래각(蓬萊閣) 밑에 있는 천 길의 석벽(石壁)이 오랜 세월을 두고 출렁이는 바닷물에 의해 패고 벌어진 곳을 말한다.” 하였다.

탄쟁협【彈箏峽】물소리가 쟁소리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평량현 서쪽에 있다.

탄지【彈指】손가락을 퉁긴다는 것은 엄지손가락으로 중지(中指)를 맞대어 누르면서 퉁겨 집게손가락을 쳐서 딱 소리를 내는 것으로, 어떤 일을 감탄하거나 매우 애석해 할 때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위인데 보통 극히 짧은 시간에 대한 비유로 쓰인다.

탄지【彈指】잠깐의 시간을 비유한 것임. 여씨춘추(呂氏春秋)에 “二十瞬一彈指" 라 하였고, 소식의 시에 “一彈指頃去來今" 의 글귀가 있음.

탄지【彈指】탄지(彈指)와 대천(大千)은 모두 불가(佛家)의 용어로서, 탄지는 눈을 20번 깜짝이는 극히 짧은 시간을 말한다.

탄탄【儃儃】고요한 모양, 한가한 모양

탄탄【憚憚】근심에 싸여 두려워함

탄탄【坦坦】넓고 평평한 모양, 남보다 월등한 점이 없는 모양, 평범한

탄탄【嘽嘽】마소가 헐떡이는 모양, 왕성한 모양, 많은 모양

탄탄【呑炭】예양(豫讓)은 전국 시대(戰國時代) 진(晉) 나라 사람으로 지백(智伯)을 섬기다가 지백이 조양자(趙襄子)에게 멸망되자, 주군(主君)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숯을 삼켜 벙어리가 되고 몸에는 생옻[生漆]을 칠하여 문둥병 환자를 가장하고 조양자를 암살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복주(伏誅)되었다. 《史記 卷八十六 豫讓傳》

 

05/10/15/20/25/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