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탐호취자【探虎取子】큰 성공을 거두어 이익을 취하기 위해서 모험을 감수하는 것을 말한다. 후한(後漢)의 반초(班超)가 오랑캐를 밤에 습격하면서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호랑이 새끼를 얻지 못한다.[不入虎穴 不得虎子]”라고 말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後漢書 班超傳》

탐호혈【探虎穴】한(漢) 나라 반초(班超)가, “범의 구멍에 들어가지 않으면 어찌 범의 새끼를 얻으랴.” 한 말이 있다.

탐화봉접【探花蜂蝶】꽃을 찾아 다니는 벌과 나비라는 뜻에서, 여색에 빠지는 것을 가리키는 말.

탐화사자【探花使者】과거에 급제한 사람을 이름. 탐화는 특히 갑과(甲科)의 제3인을 말함. 과거 제도에 갑과의 제1인을 장원(壯元), 제2인을 방안(榜眼), 제3인을 탐화랑(探花郞)이라고 불렀다.

탐화연【探花宴】당 나라 때 진사에 급제한 자들이 곡강(曲江)의 정자에 모여 잔치를 베풀고 놀았던 행사의 이름인데, 그들 가운데 나이 어리고 준수한 두세 사람을 뽑아 탐화사(探花使), 또는 탐화랑(探花郞)이라 이름을 붙이고 그들에게 동산을 두루 돌아다니며 아름다운 꽃을 꺾음으로써 진사에 급제한 즐거움을 발산하게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갑과에서 셋째로 합격한 사람을 탐화랑이라 하고 모자에 임금이 꽃을 꽂아 주었다.

탑【榻】교의(交椅)임. 

탕곡【湯谷】해가 돋는곳. 양곡(暘谷).

탕년한【湯年旱】탕년은 은(殷) 나라 탕 임금이 다스리던 때로 이때 9년 동안이나 가뭄이 들어서 상림(桑林)에서 기우(祈雨)하였다.

탕라삼면개【湯羅三面開】관대한 처사를 비유하는 말. 탕(湯)이 들에 나가 사면으로 그물을 치고 기축(祈祝)하는 사람을 보고서, 그것이 너무 잔인하다 하여 삼면을 터놓게 한 다음 재차 기축을 하게 하였다는 고사임. 본래의 문자는 탕망(湯網). 《呂覽 異用》

탕망해【湯網解】은(殷) 나라 탕왕(湯王)이 그물을 치고 사냥을 할 때 3면(面)의 짐승은 모두 놓아주고 1면의 짐승만 잡았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형정(刑政)을 관대하게 하여 죄를 용서해 주는 것을 가리킨다. 《呂氏春秋 卷10 孟冬紀 異用》

탕명【湯銘】탕(湯) 임금이 자신을 경계하기 위하여 목욕하는 그릇에 새긴 명(銘)을 말한다. 그 그릇에 “참으로 날로 새롭게 하고 날로 새롭게 하며, 또다시 날로 새롭게 한다.[苟日新 日日新 又日新]”는 명(銘)을 새겨 스스로를 경계하였다. 《大學 傳二章》

탕목가명수【湯沐加名數】군주(君主)의 칭호를 내렸다는 말이다. 왕세자(王世子)의 적녀(適女)가 10세가 되면 정2품인 군주의 봉호를 받았다. 탕목은 탕목읍(湯沐邑)의 준말로, 부세(賦稅)를 개인적으로 거두어들이던 사읍(私邑)을 말한다.

탕목읍【湯沐邑】공신 또는 특정인에게 목욕 비용으로 쓰게 한다는 뜻으로 국가에서 특별히 내려준 채지(采地).

 

05/10/15/20/25/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