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태아【太阿】옛날 보검의 이름이다. 춘추 시대에 초왕(楚王)이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에게 명하여 용연(龍淵), 태아, 공포(工布) 세 개의 칼을 만들게 하였다. 초왕이 태아를 가지고 군대를 거느리고 적군을 격파하였다고 한다. 《越絶書 外傳 記寶劍》

태아도【大阿倒】한서(漢書) 제67권 매복전(梅福傳)에, “태아를 거꾸로 잡고 칼자루를 초(楚) 나라에 주었다.” 하였다.

태아도병【大阿倒柄】태아는 보검(寶劍)의 이름으로 한(漢)나라 유향(劉向)의 상소(上疏)에, “태아를 거꾸로 쥐고서 칼자루를 남의 손에 쥐어 주었다.” 하는 말이 있는데, 그것은 임금이 정권(政權)을 남에게 맡긴 데 비유한 말이다.

태아수왕씨【太阿授王氏】태아는 칼 이름으로 권력을 장악한 것을 뜻함. 왕씨(王氏)는 원제 황후(元帝皇后) 왕씨의 동생 봉(鳳). 이 사람이 권력을 잡음으로부터 외척(外戚)들이 발호하였는데, 장우(張禹)가 그들에게 아첨하였으므로 주운이 배척하였다.

태악【泰岳】태악은 태산(泰山). 송 나라 때 손복(孫復)이 태산에 은거하여 석개(石介)ㆍ문언박(文彦博)ㆍ조무택(組無擇) 등 유수한 학자를 배출한 일을 가리킴.

태애초수인【台崖招手人】천태산(天台山) 벼랑으로 신선이 왕래한다는 곳. 이백(李白)의 시에, “신선이 나를 사랑한다면, 손을 들고 와 부르리라.[仙人如愛我 擧手來相招]”라는 구절이 있다.

태액【太液】한(漢) 나라 무제(武帝)가 궁궐 안에 태액지(太液池)를 팠다.

태액지【太液池】북경(北京)의 서화문(西華門) 곁에 있는 연못 이름으로, 북해(北海), 중해(中海), 남해(南海)가 있다.

태액지【太液池】한 무제(漢武帝)가 건장궁(建章宮)을 짓고 그 북쪽에 대지(大池)와 점대(漸臺)를 만들고 이름을 태액지라 했는데, 그 가운데에 봉래(蓬萊)ㆍ방장(方丈)ㆍ영주(瀛洲)의 세 산을 쌓아 해중 삼신산을 형상하였다 한다.

태역【太易】기(氣)가 분화되기 이전의 최초의 상태로, 태허(太虛)의 영역에 고요히 침잠하여 아무런 현상도 보이지 않는 때를 말한다. 《列子 天瑞》

태연【泰然】태연은 침착하여 놀랄 만한 일에도 놀라는 기색이 없이 조금도 변치 않는 모양을 뜻한다.

태연자약【泰然自若】태연하여 변동이 없음. 외부의 충격을 받아도 움직임이 없이 자연스러움.

태옥【大玉】화산(華山)에서 나오는 미옥(美玉)이다. 《書經 顧命 注》

태왕【太王】주 나라 문왕(文王)의 할아버지인 고공단보(古公亶父)의 존호(尊號)이다. 맹자(孟子) 권이(卷二)에 “옛날에 태왕은 여색을 좋아하여 그의 비를 사랑하였다.[昔者 大王好色 愛厥妃]" 하였음.

 

05/10/15/20/25/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