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장자莊子

하늘구경 

 

 

 

 

나고 죽는 변화는 큰 문제가 아니다


- 장자(외편) 제18편 지락[7]-


열자가 길을 가다가 길가에서 밥을 먹고 있었다. 마침 백년은 된 듯 한 해골을 보고서 쑥대를 뽑아 가지고 해골을 가리키면서 말했다.

“오직 나와 그대만이 진정한 죽음도 없고, 진정한 삶도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과연 죽어 있는 그대는 슬픈 것인가? 살아 있는 나는 기쁜 것인가?”

여러 가지 물건은 각기 생겨난 기틀이 있다. 물을 만나면 물때가 되고, 물에 젖은 흙 사이에 있게 되면 푸른 이끼가 되며, 언덕 위에 나면 질경이가 된다. 질경이가 썩은 흙을 만나면 오족이 된다. 뿌리는 굼벵이가 되며, 그 잎새는 나비가 된다. 나비는 변화하여 벌레가 되는데, 아궁이 밑에 생겨날 때에는 매미껍질 같은데 그 이름을 구철이라 한다. 이 구철이 천 날이 지나면 변화하여 새가 되는데, 그 이름을 건여골이라 한다. 건여골이 밷는 침이 사미라는 벌레가 되고, 사미는 식혜가 된다. 이노라는 벌레는 식혜에서 생겨난다. 황황이라는 벌레는 구유에서 생겨나고, 구유는 무예에서 생겨나며, 무예는 부권에서 생겨난다고 한다.

양해라는 풀은 죽순이 나지 않는 오래된 대와 합치어서 청녕이란 벌레를 낳는데, 청녕이 표범을 낳고, 표범이 말을 낳고, 말이 사람을 낳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은 또 변화의 오묘한 기틀로 들어가 변화한다. 만물은 모두 변화의 기틀에서 생겨나서, 모두가 변화의 기틀에 의하여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 莊子(外篇) 第18篇 至樂[7]-

列子行食於道從, 見百歲髑髏, 攓蓬而指之曰:「唯予與汝知而未嘗死, 未嘗生也. 若果養乎? 予果歡乎?」

種有幾, 得水則爲繼, 得水土之際則爲䵷蠙之衣, 生於陵屯則爲陵舃, 陵舃得鬱棲則爲烏足. 烏足之根爲蠐螬, 其葉爲胡蝶. 胡蝶胥也化而爲蟲, 生於竈下, 其狀若脫, 其名爲鴝掇. 鴝掇千日爲鳥, 其名爲乾餘骨. 乾餘骨之沫爲斯彌, 斯彌爲食醯. 頤輅生乎食醯. 黃軦生乎九猷. 瞀芮生乎腐蠸. 羊奚比乎不[筍+子], 久竹生靑寧. 靑寧生程, 程生馬, 馬生人, 人又反入於機. 萬物皆出於機, 皆入於機.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