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장자莊子

하늘구경 

 

 

 

 

자연의 도를 통하는 데는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


- 장자(외편) 제19편 달생[3]-


공자가 초나라를 가는 길에 숲 속을 지나다가 꼽추가 매미를 잡는 것을 보았는데, 마치 매미를 줍듯 하고 있었다.

공자가 물었다.

“당신은 교묘하기도 하군요. 무슨 도가 있는 것입니까?”

꼽추가 대답했다.

“제게도 도가 있습니다. 오뉴월 사이에 매미채 위에 알을 두 개 포개어 놓고서 떨어뜨리지 않게 되면, 실패하는 일이 극히 적게 됩니다. 알을 세 개 포개어 놓고서도 떨어뜨리지 않게 되면 실패하는 일은 열에 한번 정도 있게 됩니다. 알을 다섯 개 포개어 놓고도 떨어뜨리지 않게 되면 마치 매미를 줍는 것 같이 잡게 됩니다.

지금 나의 몸가짐은 마치 베어낸 나무 등걸 같고, 나의 팔놀림은 마치 마른 나뭇가지 같이 됩니다. 비록 하늘과 땅이 크고 만물은 많다고 하지만 오직 매미 날개만을 알게 됩니다. 나는 몸과 마음이 젖혀지지도 않고, 기울어지지도 않으며, 어떤 일에도 매미 날개에 대한 집념을 빼앗기지 않습니다. 그러니 어찌 잡히지 않겠습니까?”

공자가 그의 제자들을 돌아다보면서 말했다.

“의지가 헛갈리지 않고 통일되면 귀신에 가깝게 되는 법이라 했는데, 그것은 저 꼽추 영감을 두고 한 말 같구나.”


- 莊子(外篇) 第19篇 達生[3]-

仲尼適楚, 出於林中, 見痀僂者承蜩, 猶掇之也.

仲尼曰:「子巧乎! 有道邪?」

曰:「我有道也. 五六月累丸二而不墜, 則失者錙銖. 累三而不墜, 則失者十一. 累五而不墜, 猶掇之也. 吾處身也, 若厥株拘. 吾執臂也, 若槁木之枝. 雖天地之大, 萬物之多, 而唯蜩翼之知. 吾不反不側, 不以萬物易蜩之翼, 何爲而不得!」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