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장자莊子

하늘구경 

 

 

 

 

지극히 즐거운 인생의 경지란 어떤 것인가


- 장자(외편) 제21편 전자방[4]-


공자가 노자를 만나러 가니, 노자는 머리를 감고 나서 머리를 풀어 흩트린 채 머리를 말리고 있었는데 꿈적도 하지 않고 있는 것이 사람 같지 않았다.

공자는 비켜서서 기다리다가 잠시 후에 말했다.

“제 눈이 어두워진 것일까요? 아니면 제대로 본 것일까요? 조금전의 선생님의 형체는 뻣뻣한 것이 마른 나무 같았으며, 밖의 물건은 잊고 사람들을 떠나 홀로 우뚝 서 있는 것 같았습니다.”

노자가 말했다.

“나는 만물이 태어나던 처음의 경지에 노닐고 있었습니다.”

공자가 물었다.

“그 말씀의 뜻이 무엇입니까?”

노자가 말했다.

“마음이 곤하여지기만 하지 알 수는 없고, 입이 닫혀져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일이지만, 당신을 위해 그 대략적으로 말을 해보겠습니다.

지극한 음기는 고요하고 지극한 양기는 동적인 것입니다. 고요함은 하늘로부터 나오고, 움직임은 땅으로부터 나오며, 이 두 가지 기운이 서로 통하여 조화를 이룸으로써 물건이 생겨나는 것입니다. 어느 누가 그 법도를 다스리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그 형체는 본 일이 없습니다. 만물은 생겨나고 없어지고 하며 가득 찼다 비었다 하기도 하며 한번 어두워졌다가 한 번 밝아집니다. 날로 바뀌고 달로 변화하여, 하루도 쉬지 않고 이 현상이 지속되지만 그 조화의 공은 드러나지 않습니다. 만물의 발생은 싹이 튼 곳이 있으며, 죽음은 귀결되는 곳이 있습니다. 만물의 시작과 끝은 서로 끝없이 반복되어 그 끝나는 곳을 알 수가 없습니다. 또 그 누가 만물의 근원이 될 수가 있겠습니까?”

공자가 말했다.

“그런 경지에 노닌다는 말의 뜻을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노자가 말했다.

“그런 경지로 들어가면 지극히 아름답고 지극히 즐겁습니다. 지극한 아름다움을 얻고 지극한 즐거움에 노니는 이를 지인이라 합니다.”

공자가 말했다.

“그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노자가 말했다.

“풀을 먹는 짐승들은 풀밭이 바뀌는 것을 싫어하지 않고, 물에 사는 벌레들은 물이 바뀌는 것을 싫어하지 않습니다. 생활상의 조그만 변화가 일어났을 뿐이지 그의 큰 법도를 잃은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쁨이나 노여움· 슬픔· 즐거움 같은 감정들이 가슴속에 스며들지 않는 것입니다.

천하라는 곳은 만물이 한결같이 존재하는 장소입니다. 자기가 거기에 일체가 되어 동화될 수만 있다면 자기의 사지나 육체는 먼지나 때와 같은 것이 될 것이며, 죽음과 삶, 시작과 끝을 밤이나 낮과 같은 것으로 여기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아무것도 그를 어지럽게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하물며 세상의 이해득실이나 화복 같은 잔일들이야 어떻겠습니까?

노예를 버리는 사람이 노예를 진흙처럼 버릴 수 있는 것은 자신의 몸이 노예보다 귀하다고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가장 귀한 도는 나에게 있으며, 변화에 의해 잃게 되지 않으며, 또한 만물을 변화하게 하여 영원무궁하게 하는 것입니다. 무엇이 내 마음에 걱정을 끼칠 수 있겠습니까? 이미 도를 터득한 사람이라면 이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공자가 말했다.

“선생님께서는 덕이 하늘과 땅의 짝이 될만한데도 지극한 말씀을 빌어서 마음을 닦고 계십니다. 옛날의 군자라도 누가 이보다 뛰어날 수 있겠습니까?”

노자가 말했다.

“그렇지 않습니다. 물이 맑은 것은 무위하지만 그 성격이 자연히 그렇게 만드는 것입니다. 지인이 덕을 지니고 있는 것도 의식적으로 덕을 닦지 않아도 만물들이 떨어질 수 없이 화합되기 때문입니다. 하늘은 스스로 높고, 땅은 스스로 두터우며, 해와 달은 스스로 밝은데 그것들이 무슨 덕을 닦는 것이 있겠습니까?”

공자가 물러나와 안회에게 말했다.

“내가 지닌 도라는 것은 독 안에 든 바구미와 같은 것이었다. 선생님께서 나의 몽매함을 깨우쳐 주지 않았다면 나는 하늘과 땅이 위대하고 완전함을 알지 못했을 것이다.”


- 莊子(外篇) 第21篇 田子方[4]-

孔子見老聃, 老聃新沐, 方將被髮而乾, 慹然似非人. 孔子便而待之, 少焉見, 曰:「丘也眩與, 其信然與? 向者先生形體掘若槁木, 似遺物離人而立於獨也.」

老聃曰:「吾遊心於物之初.」

孔子曰:「何謂邪?」

曰:「心困焉而不能知, 口辟焉而不能言, 嘗爲汝議乎其將. 至陰肅肅, 至陽赫赫. 肅肅出乎天, 赫赫發乎地. 兩者交通成和而物生焉, 或爲之紀而莫見其形. 消息滿虛, 一晦一明, 日改月化, 日有所爲, 而莫見其功. 生有所乎萌, 死有所乎歸, 始終相反乎无端而莫知乎其所窮. 非是也, 且孰爲之宗!」

孔子曰:「願聞其方.」

曰:「草食之獸不疾易藪, 水生之蟲不疾易水, 行小變而不失其大常也, 喜怒哀樂不入於胸次. 夫天下也者, 萬物之所一也. 得其所一而同焉, 則四肢百體將爲塵垢, 而死生終始將爲晝夜而莫之能滑, 而況得喪禍福之所介乎! 棄隸者若棄泥塗, 知身貴於隸也, 貴在於我而不失於變. 且萬化而未始有極也, 夫孰足以患心! 已爲道者解乎此.」

孔子曰:「夫子德配天地, 而猶假至言以修心, 古之君子, 孰能脫焉?」

老聃曰:「不然. 夫水之於삭汋也, 无爲而才自然矣. 至人之於德也, 不修而物不能離焉, 若天地自高, 地之自厚, 日月之自明, 夫何修焉!」

孔子出, 以告顔回曰:「丘之於道也, 其猶醯鷄與! 微夫子之發吾覆也, 吾不知天地之大全也.」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