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무문관無門

하늘구경 

 

 

 

 

무문관(無門關)에 대하여


중국 남송의 선승인 무문 혜개(無門慧開)가 48개의 화두를 모아 엮은 불서로, 벽암록(碧巖錄) 종용록(從容錄)과 함께 선종의 대표적인 책이다. 「선종무문관(禪宗無門關)」이라고도 한다. 옛 조사들로부터 내려오던 선어록 중 공안 48칙을 뽑고, 무문 자신의 선적체험을 바탕으로 48개의 화두에 평창(平唱)과 송(頌)을 덧붙이고 있다. 특히 이 48칙의 총칙이라고 할 제1칙 「조주무자(趙州無字)」 화두는 우리나라의 많은 스님들이 평생을 씨름하는 화두의 하나로 유명하다.

무문도 「조주무자」 화두를 받아 깨닫는데 6년이나 걸렸다고 한다. 무문은 어느 날 제를 알리는 큰 북소리를 듣고 문득 깨달았다고 하며 이 때의 상황이 " 청천백일에 천지를 진동하는 뇌성이 울렸다." 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큰 북소리에 깨달음의 그 무엇이 있는 것은 아니며 무문의 수행이 이미 무르익어 있었으며 단지 큰 북소리와 더불어 깨달음이 열렸을 뿐인 것이다. 이후 그는 이 깨달음을 바탕으로 제자들의 자질에 따라 알맞다고 생각되는 몇 개의 화두들을 부과해 수행시켜 오다가 그것들이 어느덧 48개나 쌓이게 되자 1228년 남송(南宋) 이종황제(理宗皇帝)의 즉위를 기념하여 이들을 한데 모아 선 수행의 지침서로서 「무문관」을 엮게 된 것이다.

무문관은 첫 번째 조주무자가 전부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며 나머지 47칙은 모두 이 조주무자를 철저히 투과했는지를 다시 점검하기 위해 있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주무자에서 무문은 무(無)를 종문(宗門)의 일관(一關)이라 부르고, 이 일관을 뚫고 나아가면 몸소 조주로 모실 뿐 아니라 역대 조사와 손을 잡고 함께 행동하며 더불어 견문을 나누는 즐거움을 같이 하게 된다고 한다. 조주에게 한 승려가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하고 묻자, “없다.(無)”고 대답한 것은 세상에서 말하는 있고 없음의 ‘무(無)’가 아니라 유무의 분별을 끊은 절대적 ‘무’를 가리킨다. 깨달음의 절대 경지를 ‘무’라고 표현한 것이라고 하였는데, 무문관에는 이 ‘무자(無字)’의 탐구가 전편에 깔려 있다.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