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방상시[方相氏] ~ 방성[房星] ~ 방숙소호[方叔召虎]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388  

방상시[方相氏] 인산(因山)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의 장례에 앞서 광중(壙中)의 악귀를 내쫓는 데 쓰였던 네 눈이 있는 귀신의 가면이다.

방생[放生] 불가(佛家)의 말로 잡힌 고기를 다시 놓아주는 일을 이른다.

방서[謗書] 중상(中傷)하는 투서를 이른다.

방성[房星] 28(宿)의 하나로 말[]을 맡은 별이다. 이 별의 정기가 땅에 내려와 준마(駿馬)가 된다고 한다.

방성[房星] 역서(曆書) “10월 소설일(小雪日)에 태양(太陽)이 인석목(寅析木)의 전차(躔次)인 방성 제1()에 와서 닿는다.”라 하였다.

방성[方城] 지금의 하북성 고안현(固安縣) 남쪽이다.

방소[方召] 방소는 주 선왕(周宣王)의 현신인 방숙(方叔)과 소호(召虎)를 합칭한 말이다.

방숙[方叔] 주 선왕(周宣王) 때의 경사(卿士)로서 왕명을 받아 북쪽으로 험윤(玁狁)을 정벌하고 남쪽으로 형초(荊楚)를 정복하여 공로를 세웠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채기(采芑)방숙이 임하니 그 수레가 삼천이다[方叔涖止 其車三千].”라 하였다.

방숙소호[方叔召虎] 방숙과 소호는 주 선왕(周宣王) 때의 명장(名將)이다. 선왕은 만형(蠻荊)이 반()하자 방숙에게 명하여 정벌하게 하였는데 시경(詩經)의 소아(小雅) 채기(采芑)는 그 일을 읊은 내용이며, 대아(大雅) 강한(江漢)은 소호가 강한에 왔을 때의 일을 읊은 내용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45 역책[易簀] 1593
5344 가액지망[加額之望]~가야[伽倻]~가야[伽倻]~가야다투참[佳冶多妬讒]~가양[嘉釀] 5637
5343 가아수년[假我數年]~가악[嘉樂]~가암[賈黯]~가액인[加額人] 2924
5342 가씨삼호[賈氏三虎]~가씨소[賈氏疏]~가아[駕鵝]~가아[可兒] 3023
5341 가신강음[佳辰强飮]~가신위모[假神爲謀]~가실[嘉實]~가씨규렴한연소[賈氏窺簾韓掾少] 2819
5340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2796
5339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2803
5338 가슬석자[歌瑟析子]~가슬추연[加膝墜淵]~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3377
5337 가수편[嘉樹篇]~가숙[家塾]~가숙당서[家塾黨序] 3412
5336 가수부각궁[嘉樹賦角弓]~가수부시[假手賦詩]~가수전[嘉樹傳] 2740
5335 가쇄[枷鎖]~가수[嘉樹]~가수[佳手]~가수[假守]~가수[家數] 3291
5334 가소[賈疏]~가소년[賈少年]~가속[賈餗]~가손[賈遜] 4151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