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사성【四聖】네 성인(聖人). 처음으로 주역(周易)의 팔괘(八卦)를 그린 복희(伏羲), 육십사괘(六十四卦)를 그리고 괘사(卦辭)를 붙인 주(周) 나라 문왕(文王), 효사(爻辭)를 지은 주공(周公), 상전(象傳)ㆍ단전(彖傳) 등의 십익(十翼)을 지은 공자(孔子)를 가리킨다.

사성【私省】사성은 논어(論語) 위정(爲政)의 “내가 회(回)와 함께 온종일 이야기할 때는 어리석은 것 같더니, 물러가서 그 사생활을 살펴보면 그대로 행하니 회는 어리석지 아니하구나.[吾與回言終日 不違如愚 退而省其私 亦足以發 回也不愚]" 에서 나온 것임.

사성【四聖】사성은 안자ㆍ증자ㆍ자사ㆍ맹자이다.

사성【使星】사신(使臣)을 이름. 한 화제(漢和帝) 때 이합(李郃)이 천문(天文)의 사성(使星)을 보고서 두 사신이 파견될 것을 미리 알았던 데서 온 말이다. 한(漢)나라 화제(和帝)가 각 지방에 민정(民情)을 순찰하는 사신(使臣)을 보내면서 미복(微服)으로 암행(暗行)하게 하였더니, 두 사신이 익주(益州)에 들어가서 이합(李郃)의 집에 자는데, 이합이 두 사람에게 묻기를, “두 분이 서울을 떠날 때에 조정에서 두 사신 보낸 것을 알고 오셨는가.” 하였다. 두 사신이 놀래어, “우리는 듣지 못하였다. 어찌 아는가.” 하니 이합이 하늘에 별을 가리키며 “두 사신별[使星]이 익주의 분야(分野)로 향하였기 때문에 천문(天文)을 보고 안다.” 하였다.

사성【四聲】평성(平聲)ㆍ상성(上聲)ㆍ거성(去聲)ㆍ입성(入聲)이니, 사성으로서 음운(音韻)의 고저(高低)와 강약(强弱)과 장단(長短)을 구분한다.

사성기【士成綺】사성기라는 사람이 노담을 찾아가 말하기를, “나는 선생께서 성인(聖人)이라고 듣고 한 번 뵙기 위하여 먼 길을 마다 않고 발을 싸매고 왔는데, 지금 와서 보니 성인이 아니로군요.” 하였는데, 그에 대하여 노자는 담담한 표정으로 아무 대꾸가 없었다 한다. 《莊子 天道》

사성보【四聲譜】상성ㆍ평성ㆍ거성ㆍ입성을 분류한 책으로 총 1권임.

사성착족비【蛇成着足非】전국책(戰國策) 제책 이(齊策二)에 나오는 이른바 “畫蛇添足”의 비유로, 훌륭하게 완성된 시작품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논평을 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말이다.

사성환입한【使星還入漢】사성은 사자(使者)를 칭하며 한중(漢中)은 익주(益州)로 현재의 사천성(四川省). 한(漢) 나라 화제(和帝)는 즉위한 다음 사자를 사방으로 파견하여 미복(微服)으로 다니면서 사방의 풍속과 민요를 채집해 오게 하였는데 이때 두 명의 사신이 익주에 이르러 원인 이합(李郃)의 집에 투숙해 있었다. 여름철이라서 함께 밖에 나와 하늘을 보았는데 이합은 “두 분께서 서울을 떠날 때 두 사신을 이곳에 파견한 사실을 모르는가? 천기를 보니 두 사성이 익주의 분야(分野)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안다.” 하였다. 《後漢書 李郃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