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금용【金墉】금용은 옛 성(城)의 이름으로, 진(晉) 나라 사마사(司馬師)가 임금 조방(曹芳)을 폐한 뒤 이곳으로 옮겼고, 진 나라 양후(楊后)와 민회태자(愍懷太子)가 이곳에 유폐되었으며, 조왕 윤(趙王倫)이 찬탈한 뒤 혜제(惠帝)를 이곳에 거하게 하였다. 《讀史方輿紀要 河南 洛陽縣》

금우【金牛】금우는 금똥을 눈다는 소. 전국 시대 진 혜왕(秦惠王)은 촉(蜀)을 치려 했으나 길을 알지 못하므로 돌을 깎아 다섯 마리의 소를 만들어 뒤에 금을 넣어 놓고는 이것을 촉도에 갖다 놓았다.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는 돌소가 금똥을 눈다고 하자, 이 소문을 들은 촉왕(蜀王)은 천여 명의 군사와 다섯 명의 역사(力士)를 동원하여 성도(成都)로 운반해 갔다. 이 때문에 길이 뚫려, 진 나라는 마침내 이 길을 따라 촉을 공격하여 탈취했으므로 이 길을 금우도(金牛道)라 하였다.

금우역【金牛驛】사천성(四川省)과 섬서성(陝西省) 사이에 있는 옛날의 잔도(棧道) 이름으로, 한중(漢中)에서 촉(蜀) 땅으로 들어가려면 반드시 거쳐야만 하는 길이다. 진(秦) 나라 혜왕(惠王)이 촉 나라를 치려고 하였으나 길이 없었다. 이에 돌로 소 다섯 마리를 만들고는 그 뒤에다가 금(金)을 놓아둔 다음 ‘소가 금똥을 누었다.’고 소문내니, 촉 나라 사람들이 그 소를 달라고 하였다. 혜왕이 주겠다고 하자, 촉에서 역사(力士) 다섯 명을 보내어 길을 뚫고 끌어오게 하였는데, 진 나라에서는 그 소의 뱃속에다가 무기를 숨겨 보내어 이를 가지고 촉 나라를 쳐서 멸망시켰다. 《華陽國志》

금우옥곤【金友玉昆】남의 형제를 칭찬하여 이른 말이다.

금운【金韻】훌륭한 인재(人材)에 비유한 말이다.

금원【金源】금국(金國)의 별칭. 상경로(上京路)는 금(金)의 나라를 금원(金源)이라고 칭한다.

금위주불자교【金爲注不自巧】장자(莊子) 달생(達生)에 “기왓장을 상품으로 내기를 걸고 활을 쏘면 잘 맞추고, …… 황금을 상품으로 걸고 활을 쏘면 정신이 혼란해진다. 그것은 곧 기량은 동일하지만 외물(外物)인 내기 상품을 중히 여긴 때문이다.” 한 데서 온 말이다.

금융【金狨】원숭이 가죽으로 만든 금색(金色)의 방석을 말한다.

금의야행【錦衣夜行】비단 옷을 입고 밤길을 다님. 성공(출세)은 했지만 남들이 알아주지 않으면 쓸 데 없음. 성공은 했지만 아무런 효과를 내지 못함

금의옥식【錦衣玉食】좋은 옷과 좋은 음식. 사치스러운 생활을 일컬음.

금의환향【錦衣還鄕】비단 옷을 입고 고향으로 돌아온다는 뜻이니 타향에서 크게 성공하여 자기 집으로 돌아감을 말함

금이이정학양신【琴以怡情鶴養神】송 나라 조변(趙抃)이 철면어사(鐵面御史)라는 별명이 있었는데 촉 나라를 다스리게 되자 거문고 하나 학 한 마리만을 가지고 갔음. 지금 청렴한 관리를 말할 때는 늘 금학을 쓰고 있음.

금인【金印】관리들이 허리에 차는 화려한 인장으로 벼슬아치의 상징이다.

금인【金人】금인(金人)은 동(銅)으로 만든 인상(人像)을 이름. 조룡(祖龍)은 진시황(秦始皇)을 이른 말로, 진시황이 천하를 통일하고 나서는 천하의 병기(兵器)들을 모두 함양(咸陽)으로 거두어들여 이를 가지고 금인 12구를 주조해서 궁중(宮中)에 세워두었던 데서 온말이다. 《史記 秦始皇紀》

금인구뉴【金印龜紐】거북 무늬 끈이 달린 금 인장이다. 한(漢) 나라 때 승상(丞相)과 대장군(大將軍) 및 열후(列侯)와 황태자(皇太子)가 금인구뉴를 찼다. 《漢舊儀 補遺》

금인삼함【金人三緘】공자(孔子)가 후직(后稷)의 사당에 들어가니 금인(金人)이 있는데 그 입을 세 겹으로 봉했으며, 등 뒤에는 “옛날에 말을 조심하던 사람이다.”라고 새겨 있었다고 한다.

금인함【金人緘】금인은 쇠로 만든 사람. 공자(孔子)가 주(周) 나라 서울에 가서 태조(太祖)인 후직(后稷)의 사당에 들어가니 금인이 있는데, 세 번 입을 꿰매고 그 등에 “옛날에 말을 삼가던 사람이다. 말을 많이 말라. 말이 많으면 실패가 많다.”라고 새겨져 있었다. 《孔子家語 卷三 觀周》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