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노어【魯魚】실수로 잘못 필사(筆寫)한 글자를 말한다. 노(魯)와 어(魚). 곧 글자 모양이 비슷한 데서 오는 잘못을 이른다. 포박자(抱朴子) 내편(內篇) 하람(遐覽)의 “글을 세 차례 정도 옮겨 쓰다 보면, 어(魚)가 노(魯)로 변하고 허(虛)가 호(虎)로 바뀌곤 한다.”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노어지류(魯魚之謬). 노어해시(魯魚亥豕). 노어도음(魯魚陶陰).

노오【盧敖】본디 연(燕) 나라 사람인데, 진 시황(秦始皇)이 그를 불러 박사(博士)로 삼아서 그로 하여금 신선(神仙)을 구하게 하였으나, 그는 한번 가서 돌아오지 않고 노산(盧山)에 은거하다가 선인(仙人) 약사(若士)를 만나서 뒤에 신선이 되어 갔다고 한다. 《淮南子 道應訓》

노오생【盧敖生】노오는 진 시황(秦始皇) 때 사람으로, 진시황이 그를 박사(博士)로 삼고 신선을 구하게 하였는데, 그는 노산(盧山)에 은거하다가 뒤에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회남자(淮南子) 도응훈(道應訓)에 “노오는 북해(北海)에서 노닐고 태음(太陰)을 경유하여 현궐(玄闕)로 들어갔다.”고 하였다.

노옹【潞翁】노옹은 송(宋) 나라 때 노국공(潞國公)에 봉해진 문언박(文彦博)을 말한다.

노위【魯衛】주(周)나라 때에 노(魯)ㆍ위(衛) 등은 동성(同姓)의 제후(諸侯)였다.

노위상근【魯衛相近】노(魯) 나라는 주공(周公)의 봉국(封國)이고 위(衛) 나라는 주공의 아우 강숙(康叔)의 봉국인데, 두 나라의 정치 상황이 마치 형제처럼 엇비슷하기 때문에, 공자가 “魯衛之政 兄弟也”라고 말하였다. 《論語 子路》

노위정무시【魯衛政無猜】노위는 노 나라와 위 나라를 가리킴. 노 나라는 주공(周公)의 후예이고, 위 나라는 강숙(康叔)의 후예인데, 주공과 강숙이 친형제간이었기 때문에 그 후예들의 국정(國政)도 형제처럼 해나갔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자로(子路)에 “노위는 정치를 형제처럼 한다.” 하였다.

노위형제【魯衛兄弟】친형제처럼 서로 정이 매우 두터움을 말한다. 노위 형제(魯衛兄弟)는 곧 노(魯)에 봉해진 주공(周公)과 위(衛)에 봉해진 강숙(康叔) 형제를 말하는데, 강숙은 위에 봉해진 뒤 항시 형인 주공의 정사를 본받아 국정(國政)도 마치 형제같이 한 데서 온 말이다. 논어(論語) 자로(子路)에 “노와 위의 정사는 형제처럼 한다.” 하였다.

노이무공【勞而無功】애는 썼으나 애를 쓴 보람이 없고, 수고만 하고 아무런 공이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

노이선생【老李先生】화석정(花石亭)을 지은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가리킨다.

노익장【老益壯】나이가 들어 늙을지라도 젊은이 못지 않게 건강하다는 뜻.

노인령【老人嶺】황해도 평산(平山)영풍(永豐)북쪽에 있는 재.

노인성【老人星】남극성(南極星)의 이명. 병방(丙方)에서 떠올라 정방(丁方)으로 진다. 장수(長壽)를 상징하는 별이다. 수성(壽星)이라고도 한다.

노일경【老一經】서생이 다 늙도록 한 경전만 읽는 것을 말한다. 왕유(王維)의 ‘송조도독부대주득청자시(送趙都督赴代州得靑字詩)’에, “어찌 서생의 무리들을 배워서 창 사이서 한 경전만 늙도록 읽으리오.[豈學書生輩 窓間老一經]”하였다.

노일변【魯一變】문물(文物)을 새롭게 진흥시킨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제(齊) 나라가 한 번 변하면 노(魯) 나라가 되고, 노 나라가 한 번 변하면 도(道)에 이른다.” 하였다.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