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개안비【開眼篦】옛날에 의원(醫員)들이 눈병을 치료할 때 쓰던 도구이다.

개연【介然】“산골짜기의 오솔길도 개연(介然)히 다니면 길이 된다.”는 말이 맹자(孟子)에 있는데, 이것은 사람의 마음이 잠깐 트이는 것에 비유하였다.

개영읍천자【開營揖天子】한 문제(漢文帝)가 종정(宗正) 유례(劉禮)와 축자후(祝玆侯) 서려(徐厲)와 하내수(河內守) 주아부(周亞夫)를 장군으로 삼아 각각 패상(霸上)과 극문(棘門)과 세류(細柳)에 군영을 설치하게 하였는데, 패상과 극문의 진영을 순시할 때는 곧장 말을 치달려 군문(軍門) 속으로 들어가서 극진한 환영을 받았다가, 세류에 도착해서는 삼엄한 군기(軍紀)가 펼쳐져 문 앞에서부터 저지를 당하자, “여기야말로 진짜 장군의 군영이다. 조금 전에 다녀온 패상과 극문의 군대는 아이들 장난과 같았다.[嗟乎 此眞將軍矣曩者霸上棘門軍 若兒戲耳]”고 탄식했던 고사가 전한다. 《史記 卷57 絳侯周勃列傳》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이백(李白)의 시에 “세류의 군영에선 군례(軍禮)로 천자를 뵈었나니, 패상의 군대는 애들 장난임을 비로소 알았다오.[細柳開營揖天子 始知霸上爲嬰孩]”라는 구절이 나온다. 《李太白集 卷3 司馬將軍歌》

개옥【改玉】개옥은 개보 개옥(改步改玉)의 준말로, 전 시대의 폐해를 말끔히 씻어 내 개혁하는 것을 말한다.

개옥개행【改玉改行】차고 다닐 옥의 종류를 바꾸면 걸음걸이도 바꾸어야 한다. 법을 변경하면 일도 고쳐야 한다는 뜻.

개원【開元】개원은 당 현종(唐玄宗)의 연호이다. 태평성대.

개원대력【開元大曆】개원은 당 현종(唐玄宗)의 연호이고, 대력(大曆)은 당 대종(唐代宗)의 연호로서 현종 개원 연간에서부터 대종 대력 연간까지가 곧 성당(盛唐) 시대에 속한다.

개원천보【開元天寶】개원은 당 현종(唐玄宗)의 초기 연호이고, 천보는 후기 연호이다.

개유기【皆由己】모든 일이 하는 그대로 결과가 나타남. 유자(孺子)가 노래하기를, “창랑수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수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 했는데 공자(孔子)가 듣고 이르기를, “소자들아 들으라. 맑기에 갓끈을 씻고 흐리기에 발을 씻는다니 그 물 제 할 탓 아니겠느냐.” 하였다고 함. 《孟子 離屢 上》

개유불망【蓋帷不忘】견마(犬馬)도 사람에게 공로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공자가 옛 말을 인용하여 “해진 휘장[敝帷]을 버리지 않는 것은 말[馬]을 묻기 위함이요, 해진 수레의 차일[敝蓋]을 버리지 않는 것은 개[犬]를 묻기 위해서라고 했다.” 한 데서 온 말로, 은혜가 하찮은 미물에까지 미침을 뜻한다. 《禮記 檀弓下》

개이부달【開而不達】이는 “君子之敎喩也……開而不達”라고 보이는데, 군자의 교육 방법을 말한 것으로 군자는 일의 단서를 열어 보여 줄 뿐이요. 학생을 통달시키려고는 하지 않는다는 뜻임.

개인【開印】인뒤웅이를 엶. 관인(官印)을 맡아 사무(事務)를 주장(主掌)하는 관원(官員)이 관아(官衙)에 나아가, 어제 또는 지난해에 집무(執務)를 마치고 인신(印信)을 간수하여 두었던 인궤(印櫃)를 열고 집무를 개시한다는 뜻.

개자【介子】개자추. 

개자추【介子推】중국 춘추 시대의 충신. 진 문공(晉文公)이 망명다닐 때 19년 동안 충성을 다했는데, 문공이 즉위하여 공로를 잊자, 개자추는 그것을 부끄럽게 여겨 어머니를 모시고 면산(綿山)에 들어가 숨었다. 뒤에 뉘우친 문공이 개자추를 찾았으나 찾지 못하자 산에 불을 질러 나오게 하려 했다. 그러나 개자추는 나오지 않고 불에 타죽었다 한다.

개정【介亭】홍점전(洪占銓)의 호임.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