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파안대소【破顔大笑】근엄한 얼굴 표정을 깨고 크게 웃음.

파양강【鄱陽江】안휘성(安徽省) 경계에서 발원(發源)하여 파양현(鄱陽縣) 남을 지나 파양호(鄱陽湖)로 들어가는 강.

파연루【破煙樓】아비보다 더 훌륭한 자식을 뜻함. 연루는 안개가 낀 높은 누각을 이르는데, 서언고사(書言故事)에 의하면, 자식이 아비보다 나은 것이 마치 말[馬]의 뒷발굽이 앞발굽보다 훨씬 멀리 뛰어서 곧장 안개 낀 높은 누각을 쳐부수고 넘어가는 것과 같다[跨竈撞破煙樓]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파옹【坡翁】파옹은 소식(蘇軾)을 가리키는데, 소식의 석상대인증별시(席上代人贈別詩)에 “연자를 쪼개고 모름지기 속을 보아야겠네 바둑 한 판 끝나면 다시 만날 기약 없으리 해진 적삼도 거듭 기울 날이 있나니 밥먹을 때마다 어찌 숟가락을 잊으리오[蓮子擘開須見臆 楸枰著盡更無期 破衫却有重逢日 一飯何曾忘却時]” 한 데서 온 말이다. 《蘇東坡集 卷九》

파원【巴猿】파협의 원숭이. 파협원명(巴峽猿鳴).

파유【巴歈】파유는 파유가(巴歈歌)의 약칭으로 가곡(歌曲)의 이름이다. 후한서(後漢書) 남만전(南蠻傳)에 “풍속이 가무(歌舞)를 좋아했는데, 고조(高祖)가 그를 관찰하고 말하기를 ‘이는 무왕(武王)이 주(紂)를 정벌하던 노래이다.’ 하고 악인(樂人)에게 명하여 익히게 하였으니, 이것이 이른바 파유가이다.” 하였다.

파일휘【把一麾】지방 수령(守令)이 되었음을 이름. 안연지(顔延之)의 오군영(五君詠)에 “한 깃대로 태수 되어 나갔네[一麾乃出守]”하였다.

파자국【巴子國】고국(古國)의 이름이다. 참고로 두보의 둘째 시에 “巴山春色靜”이라는 구절이 있다.

파적【破的】파적은 과녁에 적중시키는 것으로서 말과 글이 이치에 꼭 들어맞는 것을 말한다. 《世說新語 品藻》

파적【破的】파적은 요점을 찔러 정확하게 말하는 것을 가리킨다.

파제【破題】시의 첫머리에 그 글제의 뜻을 들추어냄.

파제족자왕【破齊足自王】한신이 제(齊)를 격파하고는 한왕(漢王)에게 청하여 제왕(齊王)이 되었다.

파주문월시【把酒問月詩】이백(李白)의 시로, 술잔을 잡고 달에게 묻는다는 시가 있다.

파주위선【把酒爲船】진(晉) 나라의 필탁(畢卓)이 말하기를 “수백 섬의 술을 가득 실은 배를 얻어 사계절의 진미를 배의 양쪽에 놓아두고서 오른 손에는 술잔을, 왼손에는 게를 잡고 술배 안에서 헤엄을 칠 수만 있다면 그것으로 일생을 마치기에 충분하다.” 한 데서 나온 것으로, 술을 마시며 자유분방하게 살고 싶다는 것이다. 《晉書 卷四十九 畢卓傳》

파죽지세【破竹之勢】대나무를 쪼개는 듯한 기세. 무인지경(無人之境)을 가듯 아무런 저항 없이 맹렬히 진군하는 기세. 곧, 거침없이 맹렬히 적을 치는 기세.

파징【波澄】해평(海平)의 고호임.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