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포옹【逋翁】포옹은 은둔해 있는 노인으로 상산 사호를 가리킨다.

포옹【逋翁】포옹은 임포(林逋)를 말함.

포옹【浦翁】호가 추포(秋浦)인 황신(黃愼)을 말한다.

포옹고【抱甕苦】장자(莊子) 천지(天地)에 “자공(子貢)이 초(楚) 지방을 지나다가 단지로 물을 퍼서 밭에 물을 주느라고 애쓰는 농부를 보고 ‘두레박으로 퍼올리면 힘도 안 들고 물도 많이 풀 수 있는데, 왜 그 고생을 하는가?’ 하니, ‘기계를 사용하려는 마음이 생기면 순백(純白)한 마음을 가질 수 없고 따라서 도심(道心)을 지킬 수 없으므로 알면서도 쓰지 않는다.’ 했다.” 하였다.

포옹관신정【抱甕灌新井】졸루(拙陋)한 것을 편안하게 여긴다는 뜻. 자공(子貢)이 한음(漢陰)을 지나다가 보니, 한 늙은이가 밭이랑을 만드는데 우물에 내려가서 항아리에 물을 길어다가 물을 주고 있어 능률이 오르지 않았다. 그래서 자공이 물 푸는 기구를 주었으나 그 노인은 순백(純白)한 일이 아니라 하여 거절하였다.

포옹구망구【抱瓮久忘劬】편리하게 살 수 있는 길을 일부러 마다하고 자신의 소신대로 질박한 생활을 고집하며 사는 것을 말한다. 두레박을 사용하면 훨씬 편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혹시 꾀를 부리려는 마음[機心]이 싹틀까 봐 굳이 물단지를 안고[抱甕] 들어가서 물을 퍼 담아 밭에 물을 주는 노인의 이야기가 장자(莊子) 천지(天地)에 나온다.

포옹장인【抱甕丈人】장자(莊子) 천지(天地)에 “자공(子貢)이 길을 가다 보니 어떤 사람이 논에 물을 대는데, 단지를 안고 우물로 들어가 길어다가 대니 힘만 들고 효과가 없었다. 자공이 ‘힘 안 들고 효과 많은 기계가 있는데 왜 안 쓰는가?’ 하니, 대답하기를 ‘기계를 쓰면 요령 부리고 싶은 마음이 생기고 요령을 부리면 순수한 마음을 보전하여 도를 완전하게 할 수 없다. 기계가 있는 것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수치스럽게 여겨 쓰지 않는 것이다.’ 했다.” 하였다.

포옹한음【抱甕漢陰】자공(子貢)이 초(楚) 나라에서 진(晉) 나라로 돌아갈 때 한음(漢陰)을 지나다가 보니, 한 노인[丈人]이 독을 들고 물을 운반하여 언덕에 오르내리며 밭에 물을 주고 있었다. 자공이 그에게 말하기를, “두릿대[桔橰]를 만들어 물을 푸면 수월하고 일이 쉬울 터인데, 왜 이다지 독을 안고 수고하십니까.” 하니, 노인이 말하기를, “기계(機械)를 쓰는 자가 기사(機事)가 있고, 기사가 있으면 기심(機心)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기계를 쓰지 않는다.” 하였다.

포용도【包龍圖】포용도는 곧 송(宋) 나라 때 용도각 대제(龍圖閣待制)를 지낸 포증(包拯)을 가리키는데, 성품이 워낙 강직하여 그가 조정에서 벼슬하는 동안에는 귀척(貴戚)이나 환관(宦官)들도 감히 발호하지 못하고 그를 무서워하였으며 그가 하도 근엄(謹嚴)하여 웃는 일이 없으므로, 심지어는 사람들이 일컫기를 “그가 웃으면 황하수(黃河水)가 맑아질 것이다.”고까지 하였다. 당시 포대제(包待制) 또는 염라포로(閻羅包老) 등으로 불렸다.

포유경혜천상【抱遺經兮穿床】한(漢) 나라 관녕(管寧)의 자(字)가 유안(幼安)인데, 조조(曹操) 때에 난을 피하여 요동(遼東)에 가서 살면서, 수십 년 동안 한 목탑(木榻)에 앉아 있었으므로, 그의 무릎이 닿은 곳은 목탑(木榻)이 뚫어졌다 한다.

포육천교【飽肉天驕】평생 고기만 실컷 먹어 비린내나는 교만한 북방 오랑캐라는 뜻이다. 한서(漢書) 흉노전(匈奴傳)에 “胡者 天之驕子也”라는 말이 있으며, 두보(杜甫)의 시에 “화문 땅 건방진 놈들, 고기 먹고 호기 부리네.[花門天驕子 飽肉氣勇決]”이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7 留花門》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