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해주【海籌】장수하는 것을 말한다. 통속편(通俗編) 축송(祝誦)에 “세 노인이 만나서 나이를 물으니 한 노인이 말하기를 ‘바다가 뽕밭[桑田]으로 변할 때마다 내가 산가지[籌] 하나씩 놓는데, 이제 10개가 되었다.’ 했다.” 하였다.

해중【奚仲】태고 시절 수레를 처음 만든 사람. 그 넋이 하늘로 올라 역시 별이 되었다고 함.

해촉사【獬觸邪】법관의 올바른 법 집행을 뜻함. 해(獬)라는 신수(神獸)는 부정한 사람을 만나면 뿔로 받는다는 고사에서 온 말인데, 그래서 또한 법관들이 해의 가죽으로 만든 관을 쓴다고 한다.

해촉자천원【駭矚玆川原】자안(子安)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 “산원은 광활하여 시야에 가득차고, 천택은 눈이 떡벌어져라 보는 눈을 놀라게 하도다.[山原曠其盈視 川澤盱其駭矚]” 한 데서 온 말이다.

해추【海鰌】바다의 미꾸리라고도 하는데 그 크기가 고래의 몇 10배나 된다고 옛 사람들은 믿었다.

해추【海鰌】병선(兵船)의 이름이다. 소식(蘇軾)의 시에 “동쪽에서 온 고래 같은 해적들이 병선을 몰아내는데, 바다 귀신은 머리 아홉 거북이는 눈이 여섯[長鯨東來驅海鰌 天吳九首龜六眸]”이라는 구절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50 送馮判官之昌國》

해치【獬豸】짐승의 이름. 성질이 곧아서 사람의 말을 듣고 부정한 사람을 물어뜯는다고 함. 옛날에는 사법관(司法官)이 그 가죽으로 관을 만들어 썼음.

해치【獬豸】해치(獬廌)와 같은데, 뿔이 하나인 양(羊)이다. 이 짐승은 천성이 사람의 죄 있음을 잘 알므로 고요(皐陶)가 옥(獄)을 다스릴 적에 그 죄가 의심되는 것은 이 양으로 하여금 받아 보게 했다 한다.

해치관【獬豸冠】해치관은 옛날 법관(法官)들이 쓰던 관으로 사헌부(司憲府)의 관원이 되었음을 뜻한다.

해타【咳唾】뛰어난 시문(詩文)을 뜻한다. 장자(莊子) 추수(秋水)의 “그대는 기침하며 내뱉는 저 침을 보지 못하는가. 큰 것은 주옥처럼 작은 것은 안개처럼 뿜어 나오곤 한다.[子不見夫唾者乎 噴則大者如珠 小者如霧]”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해타명주【咳唾明珠】말을 뱉으면 그대로 훌륭한 문장이 되는 탁월한 재능을 형용한 말. 후한(後漢) 강엄(江淹)이 곽공(郭鞏)에게 이르기를, “그대는 침을 뱉으면 그대로 구슬과 옥이 되니, 녹록한 무리에 비할 바가 아니다.” 하였다. 《後漢書 文苑傳 趙壹》

해탈【解脫】석가는 고(苦)ㆍ집(集)ㆍ멸(滅)ㆍ도(道)의 사성제(四聖諦)와 입멸(入滅) 즉 해탈에 이르는 팔정도(八正道)를 설법하였다. 《阿含經》

해탑【解榻】후한(後漢)의 진번(陳蕃)이 예장 태수(豫章太守)로 있을 때 특별히 탑상 하나를 마련해 놓고는, 남주(南州)의 고사(高士)인 서치(徐穉)가 찾아올 때만 반갑게 맞으면서 내려 놓았다가 그가 돌아가면 다시 올려놓고 아무에게도 내려 주지 않았던 고사가 있다. 《後漢書 徐穉傳, 陳蕃傳》

해패【解佩】당(唐) 나라 때 하감(賀監)이 장안에서 이백(李白)을 만나자, 차고 있던 금귀(金龜)를 풀어 술을 샀다 함. 금귀는 당 나라 때에 관리들이 차던 장식물. 한편, 정교보(鄭交甫)란 자가 강한(江漢) 기슭에서 두 강물의 여신을 만나 그 여인들이 차고 있는 패물을 갖고 싶어하자, 그를 좋아한 두 여신은 곧장 패물을 풀어서 주었다고 한다.

해폐편【解蔽篇】순자(荀子)의 해폐편. 해폐편은 인성(人性)이 물욕(物欲)에 가리워진 것을 주로 다루었음.

해포【解袍】당 목종(唐穆宗)이 매우 추운 날 한림원(翰林院)에 거둥했다가, 한림 학사 위수(韋綬)가 잠들어 있는 것을 보고는 옷을 벗어 덮어 주고 갔던 고사가 전한다. 《淵鑑類函 卷54 用賢 二》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