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화속전【火粟田】나무를 베어 버리고 밭을 개간하여 한 해만 경작하고 묵혀 버리는 전지를 일컬음.

화수【火樹】등불의 빛이 성한 것을 말함.

화수【火樹】영산홍의 꽃이 불같이 붉은 것을 비유한 것임. 백거이의 시에 “火樹風來飜絳焰 瓊枝日出晒紅紗" 라 하였음.

화수【火宿】화수는 심수(心宿)라 부르며 28수(宿) 중 동방 창룡칠수(蒼龍七宿)의 하나이다.

화숙【和叔】화숙은 박순(朴淳)의 자(字)이다.

화숭【華嵩】중국 오악(五嶽)의 하나인 화산(華山)과 숭산(嵩山)으로 높은 산의 대명사가 되었다.

화승【華勝】머리를 꾸미는 꽃 모양의 장식물.

화승【花勝】화승은 부인의 머리에 꽂는 채색 조화(造花)를 말한다.

화승상투【花勝相投】중국에서 정월 7일 인일(人日)에 일곱 가지 채소국을 먹고 채단(綵緞)을 오려서[翦綵] 머리 장식[花勝]을 만들어 서로 선물하고 머리에 꽂고 다니며 높은 언덕에 올라가 시를 읊는 풍속이 있었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이것은 전설적인 선녀 서왕모(西王母)가 머리에 꽂고 있던 대승(戴勝)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것으로 장수(長壽)와 행복을 비는 뜻이 담겨 있다.” 하였다.

화시【華始】한(漢) 나라 때의 음악 이름. 음률을 만물의 영화(英華)의 시작에 비긴 것이다.

화시감온포【花時甘縕袍】꽃피는 계절에 아직도 솜옷을 좋아한다. 두소릉시집(杜少陵詩集) 권7 유우(遺遇)의 맨 마지막에 나오는 시구이다.

화식【火食】속세에 사는 사람. 화식하는 사람이 아닌 것 같다 함은 신선 같다는 얘기이다. 《王直方詩話》

화식전【貨殖傳】사기(史記) 열전(列傳)의 하나로서 이 글은 모두 재물을 불리는 일에 관해서 기술한 것이다.

화신풍【花信風】소한(小寒)에서부터 곡우(穀雨)까지 모두 8개 절기인데 그것을 날짜로 따져보면 1백 20일이며, 매 5일이 하나의 철이 되어 모두 24철이 되고 철마다 한 종류의 꽃 소식이 서로 응한다 하여 이것을 이십사번화신풍(二十四番花信風)이라 부른다. 이것은 시기에 맞춰 차례로 피어나는 봄철의 꽃에 의해 흘러가는 세월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봄바람 속에 이십사번 꽃 가운데 한 번의 꽃이 또 피었다는 것이다.

화씨【和氏】화씨벽(和氏璧) 고사의 주인공인 변화(卞和)를 말한다.

화씨박【和氏璞】춘추 시대 초(楚) 나라 변화(卞和)가 산중에서 얻은 옥박(玉璞)을 말하는데, 이것이 천하에 뛰어난 보옥(寶玉)이었으므로, 여기서는 훌륭한 인품에 비유한 것이다.

화씨벽【和氏璧】초(楚) 나라 사람 변화(卞和)가 형산(荊山)에서 박옥(璞玉)을 얻어 초(楚) 나라 여왕(厲王)에게 올리니, 여왕이 옥공(玉工)을 시켜 감정하게 하였다. 옥공이 돌이라고 하니 임금이 속였다고 하여 좌족(左足)을 베어 버렸다. 여왕이 죽고 무왕(武王)이 즉위하자 또 박옥을 올리니, 무왕이 옥공을 시켜 감정하게 하였는데 또 돌이라고 하매 그 우족(右足)을 베어버렸다. 그후 무왕이 죽고 문왕(文王)이 즉위하자 변화가 박옥을 안고 형산 아래에서 통곡하니, 문왕이 사람을 보내어 그 연유를 물었다. 변화가 말하기를 “보옥을 돌이라 하고 정직한 선비를 간사한 자라고 하니, 그것이 슬퍼서 그런다.” 하였다. 왕이 마침내 옥공을 시켜 박옥을 쪼개보니 과연 진귀한 보옥이 나오므로 드디어 화씨벽(和氏璧)이라 이름하였다. 《韓非子 和氏》

화씨성【和氏城】전국 시대 조(趙) 나라가 화씨벽(和氏璧)이란 보옥을 얻었는데, 진(秦) 나라가 15개의 성과 바꾸자고 했다.

화씨양【華氏羊】춘추 때에 송(宋) 나라 화원(華元)이 양(羊)을 잡아 여러 사람을 대접하였는데, 그 어자(御者) 양침(羊斟)은 얻어먹지 못하여 불평을 품었다가, 그 뒤에 송 나라와 정(鄭) 나라가 싸울 때에 양침이, “전일에 양을 잡아 대접할 때는 당신의 마음대로 하였지마는, 오늘 전쟁에 수레를 모는 것은 내 마음대로 하겠다.” 하고는 화원의 탄 수레를 몰고 정 나라 군중으로 달려들어갔으므로 화원이 패하였다.

화씨지박【和氏之璞】화씨는 변화(卞和)인데 춘추 시대 초(楚) 나라 사람이다. 변화가 옥덩이 하나를 발견하여 전후로 초 나라 여왕(厲王)과 무왕(武王)에게 바쳤으나 모두 기만의 죄로 몰려 양쪽의 발꿈치가 잘렸다. 문왕(文王) 때에 이르러 변화가 또 옥덩이를 안고 형산(荊山) 밑에서 통곡하자 문왕이 사람으로 하여금 그 옥덩이를 쪼개어 가공한 결과 보옥(寶玉)을 얻었는데 이를 화씨벽(和氏璧)이라고 일컬었다. 《韓非子 和氏》

화씨지벽【和氏之璧】천하에서 가장 이름난 옥. 초(楚) 나라의 변화(卞和)가 형산(刑山)에서 얻은 유명한 구슬. 조(趙)에서 그것을 얻었으며, 진(秦) 나라에 가져갔다가 오롯이 돌려왔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