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화령【和寧】화령은 함경도 영흥(永興)의 고호이다.

화록【畫鹿】정홈(鄭弘)이 어느 날 자기 수레 뒤에 백록(白鹿)이 따라오는 것을 보고 이상히 여겨 주부(主簿)에게 묻자 “삼공(三公)의 수레에는 다 사슴을 그렸는데 지금 백록이 뒤를 따르니 명공(明公)은 반드시 재상이 될 것이다.” 하고 대답한 고사이다. 한서(漢書)

화록점상【畵鹿占祥】재상이 될 상서. “정홍(鄭弘)이 임회(臨淮) 태수가 되어 행차하는데 두 사슴이 수레를 따라 오는지라, 주부(注簿) 황국(黃國)이 절하며 하례하되, 듣건대 삼공(三公)의 수레에는 사슴을 그린다 하오니, 명부(明府)께서 마땅히 재상이 되리이다.” 하였다. 홍이 과연 태위(太尉)가 되었다.

화룡【火龍】더운 기운이 이글이글 타오르는 모양. 왕곡(王轂)의 고열행(苦熱行)에, “축융이 남으로 와 화룡을 매질하니, 화기가 이글이글 하늘을 불사르네.[祝融南來鞭火龍 火旗焰焰燒天紅]" 하였음.

화룡점정【畵龍點睛】용을 그릴 때 마지막으로 눈동자에 점을 찍어 완성시킴. 곧,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하여 일을 끝냄. 남양(梁)나라 장승요(張僧繇)가 용을 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점 찍으니 용이 살아 움직여 하늘로 날아가 버렸다는 고사(故事)에서 나온 말.

화룡지사백제월【火龍之祀白帝月】화룡은 간지(干支)로 병진(丙辰)을 뜻하고 백제(白帝)는 가을을 맡은 신(神)이므로, 즉 1616년인 병진년 가을을 가리키는데, 이때에 광해군(光海君)은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하기 위해 김제남(金悌男)을 추형(追刑)하였고, 참신(讒臣)정조(鄭造) 등은 광해군의 비행을 적극 도우면서 선량한 조신(朝臣)들을 많이 처벌하였다.

화류【花柳】화가 유항(花街柳巷)의 준말. 기생 또는 유곽(遊廓)을 말함.

화류【驊騮】화류는 대추 빛깔의 준마(駿馬)로 주 목왕(周穆王)이 타고서 서왕모(西王母)를 만나러 갔다는 팔준마(八駿馬)의 하나이다.

화륜【火輪】화륜은 해를 가리킨다.

화리【花梨】종려나무[棕櫚]이다. 

화림【花林】화림은 안음(安陰)의 고호이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꽃이 열흘 동안 붉은 것은 없음. 한번 성하면 반드시 쇠퇴함. 부귀영화(富貴榮華)가 오래가지 못함을 비유

화문【花門】거연해(居延海)에서 북쪽으로 3백 리 되는 곳에 있는 산 이름으로, 당 나라 초기에 보루를 설치하고서 오랑캐의 침입을 막았는데, 천보(天寶) 연간에 회흘(回紇)에게 점령당하였다. 뒤에는 이로 인해 회흘의 대칭(代稱)으로 쓰이게 되었다.

화미구미【畫眉求媚】한(漢) 나라 장창(張敞)은 위의(威儀)가 너무도 부족하여 그 아내에게 잘 보이려고 항상 아내의 눈썹을 그려 주었다. 《漢書 張敞傳》

화미장경윤【畫眉張京尹】한(漢) 나라 선제(宣帝) 때 경조윤(京兆尹)을 지낸 장창(張敞)을 이름이니, 평양(平陽) 사람으로 자는 자고(子高)이다. 벼슬에 있을 때마다 치적이 많았으며 일찍이 그의 아내를 위해 눈썹을 그린 일이 있었다. 《漢書 卷七十六 張敞傳》

화반【火伴】화반(伙伴)이라고도 쓰는데 동반(同伴)을 일컬음.

화발치진【華髮緇塵】화발은 백발을 뜻함이고, 치진은 풍진(風塵)에 분주하여 의복이 검어짐을 말한다. 사조(謝朓) 수왕진안시(酬王晉安詩)에 “누가 경락(京洛)에 오래 머물면서 흰옷을 치진에 더럽히겠는가.” 한 데서 온 말이다.

화벽【和璧】옛날 초(楚) 나라 사람 화씨(和氏)가 초산(楚山)에서 박옥(璞玉)을 얻어가지고 여왕(厲王)에게 바치니, 여왕은 돌을 가지고 거짓말을 한다고 그의 왼발 발꿈치를 잘라버렸고, 그 후 또 무왕(武王)에게 바치니, 무왕 역시 거짓말을 한다고 그의 오른발 발꿈치를 잘라버렸다. 그러나 그는 좌절하지 않고 그후에 마침내 문왕(文王)에게 바치니, 문왕은 옥인(玉人)을 시켜 그 박옥을 다듬게 하여 보물을 얻자, 마침내 화씨벽(和氏璧)이라 불렀다 하였다.

화병【畫餠】능력이 없음을 비유한 말. 위 문제(魏文帝)의 조서에 “허명(虛名)만 있는 사람은 마치 땅바닥에 그려 놓은 떡을 먹을 수 없는 것과 같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