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황어【黃魚】잉어 종류의 바닷물고기. 일생의 대부분을 바다에서 지내고 산란기에만 하천으로 올라오는데, 비가 오려고 할 때면 높이 뛰어올랐다가 물 위에 떨어지곤 하며, 조밀하게 어군(魚群)을 형성하여 동행하는 습성을 보인다.

황여【皇輿】임금이 탄 수레.

황예【荒穢】거칠고 잡초만 무성하다.

황옥【黃屋】임금의 수레.

황옥거【黃屋車】황옥거는 노란 비단으로 덮개를 한 천자의 수레를 말한 것으로, 전하여 천자를 가리킨 것이다. 즉 병자호란 당시 청 태종이 대군을 거느리고 조선을 쳐들어와 인조가 피신해 있는 남한산성을 철통같이 포위하고 있었던 일을 말한다.

황왕제패【皇王帝覇】중국 고대의 정치(政治)에 삼대(三代)는 순수한 왕도(王道)요, 한(漢)은 패도(覇道)를 섞었다 한다.

황우【黃虞】태평 성대를 이름. 중국의 전설시대인 5천년 전에 황제(黃帝)라는 임금이 있었고, 그 후에 우순(虞舜)이 있었으므로 그 둘을 합하여 황우(黃虞)라고 말한 것이다.

황우지혁【黃牛之革】주역(周易) 혁괘(革卦)에, “공고히 하는 데는 누런 소의 가죽을 쓰라.[鞏用黃牛之革]”하였다.

황우패【黃牛佩】한(漢) 나라 공수(龔遂)가 발해군(勃海郡)에 태수(太守)로 갔는데, 그곳에 도적들이 난리를 일으켰다. 공수는 그들을 귀순시키면서 검(劍)을 찬 사람에게, “너는 왜 소[牛]를 차고 있느냐.” 하고, 도(刀)를 찬 사람에게는, “너는 왜 송아지를 찼느냐.” 하였다. 그것은 검(劍)은 소 한 마리 값이고, 도(刀)는 송아지 한 마리 값에 해당하니, 그것을 팔아서 소를 사고 송아지를 사서 도둑질을 버리고 농사를 지으라고 교화시키는 말이다.

황우협【黃牛峽】산 모습이 황소처럼 생겼다는 장강(長江)의 협곡 이름이다.

황운【黃雲】벼나 보리가 누렇게 익어서 논밭에 그득히 서 있는 모습을 비유한 말이다.

황운【黃雲】왕의 어머니 또는 왕비를 상징한 것. 제요(齊堯)의 어머니가 두유(斗維) 들에서 태어났을 때 황색 구름이 그 위를 늘 덮고 있었다는 것이다. 《宋書 符瑞志》

황운십경추【黃雲十頃秋】벼 이삭들이 누렇게 익어 넘실대는 모습을 표현한 말로, 황금 들판과 같은 말이다.

황원락일원서오【荒原落日怨棲烏】반포(反哺)하는 까마귀를 보니 불효자의 심정이 더욱 절실해진다는 말이다.

황월【黃鉞】황월은 천자(天子)가 정벌(征伐)할 때 쓰는 황금으로 장식한 도끼. 서경(書經) 주서(周書) 목서(牧誓)에 “왼손으로는 황월을, 오른손으로는 백모(白旄)를 잡고 지휘하였다.”라 하였다.

황유【黃楡】누렇게 변한 느릅나무라는 뜻으로, 이 나무가 많은 북쪽 변방의 요새지를 가리킨다.

황유기명【黃楡丌銘】누른빛의 느릅나무로 만든 책상에 대한 명이다.

황유백초【黃楡白草】변새(邊塞)에서 자라는 풀과 나무를 가리킨다. 황유는 북방의 변경 지대에서 자라는 나무이고, 백초는 서역(西域)의 목초(牧草)로서 다 자라면 희게 색깔이 변한다고 한다. 참고로 당(唐) 나라 장적(張籍)의 시 양주사(涼州詞)에 “봉림관 물 하염없이 동쪽으로 흘러가고, 백초와 황유는 예순 해를 넘겼도다.[鳳林關裏水東流 白草黃楡六十秋]”라는 구절이 있다.

황의【黃衣】미관 말직(微官末職)을 가리킨다.

황의한록【皇矣旱麓】시경(詩經) 대아(大雅) 황의장과 한록장을 말함.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