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천단【天壇】도교(道敎)에서 황제(黃帝)가 하늘에 제사했다는, 왕옥산(王屋山)의 절정을 이르는 말이다.

천단【天壇】하늘에 제사지내는 단(壇). 북경(北京)의 정양문(正陽門) 밖 남교(南郊)에 있다.

천단조로【天壇阻路】위의방(韋義方)의 처형인 장노(張老)가 의방의 포전(圃田)에 물을 주니 친척들이 이를 부끄럽게 여겼으므로, 장노가 아내와 함께 천단산(天壇山)으로 들어가 은거하였는데, 위의방이 찾아가 보니 참으로 신선의 마을이었다. 그 뒤에 다시 찾아갔으나 첩첩 산과 겹겹 물이 가로막혀 길을 찾을 수 없었다.

천대【泉臺】천대는 땅속의 묘혈(墓穴)을 가리킨다.

천대【天台】천대는 천대(天臺)와 같으며 신선이 사는 곳이다. 태평광기(太平廣記)에 “한 나라 때에 유신원(劉晨院)이 처음으로 천대산에 들어가 신선을 만났다는 말이 있다.

천도【天都】봉우리 이름인데, 중국 안휘성(安徽省) 흡현(歙縣) 황산(黃山)의 최고봉임.

천도【天弢】하늘 주머니란 말로, 곧 사람이 이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 하늘 주머니에서 노는 것과 같다고 비유해서 쓰는 말이다. 《莊子 知北遊》

천도무지【天道無知】진(晋)나라 등백도(鄧伯道)가 난리를 만나, 자기의 어린 아들과 부모 없는 어린 조카를 데리고 피란을 가다가, 일이 급하여 두 아이를 함께 보전할 수 없게 되자 아내와 의논하고 아들을 버리고 조카를 살렸더니, 후일에 그는 마침내 아들을 두지 못하였으므로 당시의 사람들이, “천도(天道)가 알지 못하여 등백도가 아들을 못 두었다.” 하였다.

천도시비【天道是非】세상의 불공정을 한탄하고 하늘의 정당성을 의심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천도휴영이익겸【天道虧盈而益謙】주역(周易) 겸괘(謙卦) 단사(彖辭)에 “천도는 가득 차면 허물어뜨리고 겸손하면 복을 주며, 지도는 위에 가득 차면 떨어뜨리고 아래에 겸허하면 계속 흐르게 하며, 귀신은 가득 차면 재앙을 내려 해치고 겸손하면 복을 준다.[天道虧盈而益謙 地道變盈而流謙 鬼神害盈而福謙]”라는 말이 나온다.

천독【薦牘】천독은 추천서를 말한다.

천동【天童】진(晉) 나라 때에 중 의흥(義興)이 산간에 집을 짓고 사는데, 한 동자(童子)가 날마다 섶과 물을 져다 주더니 뒤에 동자가 하직하고 가만히 말하되, “나는 태백성(太白星)입니다.” 하고 말을 마치자 보이지 않았다. 후세에 그 터에 절을 지어 천동사(天童寺)라 이름하였다.

천두비시요신비【千頭非是要身肥】삼국 시대 때 이형(李衡)이 관직 생활을 청렴하게 하였는데, 그가 가산을 일구고자 하면 매번 그의 부인이 반대하였으므로 몰래 종을 보내어 무릉(武陵)의 물가에다가 귤나무 천 그루를 심었다. 이형이 죽을 때에 임해서 자식들에게 이르기를, “무릉에 천 그루의 귤나무가 있으니 먹고 살 수가 있을 것이다.” 하였는데, 그 뒤에 그 귤나무가 자라 무릉에서 매년 비단 수천 필씩을 바쳐 왔으므로 집안이 부유해졌다. 《三國志 吳書 卷48 孫休傳》

천등【千燈】천의 등불이 이어짐은 전도(傳道)를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