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초양【初陽】초양은 양(陽) 한 획이 처음 생긴다는 11월을 가리킨다.

초어【樵漁】벼슬을 버리고 나와서 산에서 나무하고 물에서 고기 잡는 데 취미를 붙이겠다는 말이다.

초여담자【初如噉蔗】진(晋)나라 고장강(顧長康)이 감자(甘蔗)를 꼬리에서부터 먹이 들어가며, “점입가경(漸入佳境)한다.” 하였다.

초연망설례【楚筵忘設醴】신하를 대우하는 정성이 해이해짐을 뜻한다. 초 원왕(楚元王)은 노(魯)의 목생(穆生)ㆍ백생(白生)ㆍ신공(申公)을 매우 후히 대우하여, 그들을 위해 주연(酒宴)을 베풀 때마다, 특히 술을 즐기지 않는 목생을 위해서 항상 단술을 준비했는데, 그 다음 임금이 즉위하여서도 항상 그렇게 하다가 뒤에는 단술 놓는 것을 잊었으므로, 목생이 마침내 임금의 정성이 해이해짐을 탄식하고 떠나버렸던 데서 온 말이다.《漢書 楚元王傳》

초연질질【初筵秩秩】초연은 손님들이 막 와서 자리에 앉는 것을 이른 말로, 시경(詩經) 소아(小雅) 빈지초연(賓之初筵)에 “손들이 막 자리에 나아감에 좌우로 질서가 있도다[賓之初筵 左右秩秩]” 한 데서 온 말이다.

초염【楚豔】초(楚) 나라 지방의 미녀(美女)를 특별히 일컫는 관용어이다.

초엽록【蕉葉鹿】인간 세상의 득실(得失)이 모두 꿈과 같이 덧없다는 뜻. 열자(列子) 주목왕(周穆王)에 “정(鄭) 나라 사람이 나무를 하다가 놀란 사슴을 만나 때려잡은 뒤에 남들이 볼까봐 도랑 속에 넣고 파초잎으로 덮어놓고는 스스로 기쁨을 이기지 못하였는데, 조금 있다가 그만 숨겨 놓은 장소를 잃어버렸으므로 자기가 겪은 일을 꿈으로 여기고 말았다. 그가 도중에 그 일을 이야기하면서 왔는데 그 말을 들은 다른 사람이 가서 감추어 놓은 사슴을 찾아 가져갔다.” 하였는데, 여기서 온 말이다.

초옥【楚玉】초 나라의 보옥인 화씨벽(和氏璧)을 말한다.

초옥【楚獄】초옥은 초 나라의 옥사(獄事)이다. 초 나라 충신 굴원(屈原)이 소인들의 무함으로 심리를 받았다는 데서 억울하게 벌을 받는 것을 뜻한다.

초옥【楚獄】초옥은 후한(後漢) 초왕 영(楚王英)의 옥사(獄事)로 수천 명이 애매하게 연좌되어 억울하게 죽은 대표적인 원옥(寃獄)이다.

초왕대【楚王臺】전국시대 초 회왕(楚懷王)이 꿈속에서 무산의 여신과 만나 정을 나눴던 고당(高唐)의 궁관(宮觀)이다.

초왕실궁초인득지【楚王失弓楚人得之】초나라 임금이 잃은 활을 초나라 사람이 얻는다는 말이다. 도량이 좁은 것을 비유하는 뜻의 고사성어.

초왕운몽【楚王雲夢】사마상여가 자허부(子虛賦)를 지었는데, 초왕(楚王)이 운몽(雲夢)에서 사냥하는 광경을 썼다.

초요【招搖】북두성(北斗星) 자루의 맨 끝인 제 칠성(七星)의 이름으로, 이 별은 왼쪽으로 계속 회전하여 정월에는 동방을 가리키고 가을에는 서방을 가리킨다. 진(晉) 나라 육기(陸機)의 ‘의명월교야광(擬明月皎夜光)’이라는 시에 “초요의 별빛이 서북방을 가리키자, 하늘의 은하수 동남쪽으로 기우누나.[招搖西北指 天漢東南傾]”라는 표현이 나온다.

초요【楚腰】초(楚) 나라 궁녀(宮女)의 허리, 초왕(楚王)이 가는 허리의 여자를 사랑한 데서 유래한 것인데, 전하여 미인(美人)의 가는 허리를 가리킨다.

초요강【招搖杠】초요의 깃대는 곧 군기(軍旗)를 말하는데, 한서(漢書) 예악지(禮樂志)의 “招搖靈旗 九夷賓將”의 주에 “초요성을 기(旗)에 그려서 정벌을 하기 때문에 영기(靈旗)라 한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