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칠발【七發】매승이 칠사(七事)를 들어 초 태자(楚太子)를 계발(啓發)하고 양 효왕(梁孝王)을 풍간(諷諫)하던 것으로, 총 8수의 문(文)이 전해짐.

칠발【七發】일곱 가지 사항으로 왕자를 깨우침. 한(漢)의 매승(枚乘)이 문장 솜씨가 능했는데, 양 효왕(梁孝王)을 섬기면서 우의(寓意)가 담긴 7개 항의 글을 써서 모반(謀反)을 말도록 풍간(諷諫)을 하였음. 《漢書 卷五十一》

칠변【七辯】시(詩)ㆍ부(賦)ㆍ영헌(靈憲)ㆍ현도(縣圖) 등 30편의 저서 중의 하나. 《後漢書 張衡傳》

칠보산【七寶山】유사(遺事)에 “명황이 근정루(勤政樓)에 칠보로 일곱 자 높이의 산좌(山座)를 만들어 놓고 여러 학사들을 불러 경의(經義)와 시무(時務)를 강론케 하여, 우승한 이만이 그 산좌에 올라앉도록 했는데, 장구령(張九齡)의 의론이 마치 바람이 일듯 잇달아 나왔으므로 산좌에 오르게 되었고 다른 사람은 어림도 없었다.” 하였다.

칠보시【七步詩】삼국 시대 위(魏)의 조식(曹植)이 지은 칠보시(七步詩)를 말한다. 조식은 뛰어난 문재(文才)가 있었는데, 이것을 시기한 형인 문제(文帝 曹丕)는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에 시를 짓게 하고 만일 못 지으면 벌을 주려고 하였으나 그는 과연 칠보 동안에 “콩대로 불을 지펴 콩을 볶으니 콩알이 솥 안에서 서글피 우네. 본디 한 뿌리에서 생겨났거늘 어찌하여 무참히 볶아대는지[煮豆燃豆箕 豆在釜中泣 本是同根生 相煎何大急]" 라고 연두시(燃豆詩)를 지었다. 문사(文思)가 민첩한 것을 뜻한다. 《世說新語 文學》

칠보지재【七步之才】일곱 걸음을 옮기는 동안 시를 지을 수 있는 재주. 아주 뛰어난 글재주.

칠부【七扶】일부(一扶)는 네 손가락을 펴서 이은 길이로서, 칠부는 대략 일척 오촌(一尺五寸) 되는 높이를 말한다.

칠불감【七不堪】진(晉) 나라 때 혜강이 자기에게 벼슬을 하라고 권유한 산도(山濤)에게 보낸 절교서(絶交書)에서, 자신이 관직 생활을 감당할 수 없는 일곱가지 조건[七不堪]을 내세운 것을 이르는데, 그 일곱 가지 감당할 수 없는 조건을 열거한 데에 의하면 “누우면 늦게 일어나기를 좋아하는데, 문지기가 끝없이 불러대는 것이 첫째로 감당할 수 없는 일이요 …… ”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嵇中散集 卷二》

칠불사【七佛寺】북성(北城) 밖에 있는 절 이름으로, 일곱 명의 승려가 수(隋) 나라 군대를 강물 속으로 유인하여 몰살시켰다는 전설이 전한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卷52 安州牧》

칠사관잠【七事官箴】훌륭한 수령이 갖춰야 할 일곱 가지 조목, 즉 농상성(農桑盛), 호구증(戶口增), 학교흥(學校興), 군정수(軍政修), 부역균(賦役均), 사송간(詞訟簡), 간활식(奸猾息)을 말한다. 《經國大典 吏典 考課》

칠상【七相】칠상은 7인의 재상을 말한다. 한(漢) 나라의 차천추(車千秋)ㆍ황패(黃霸)ㆍ왕상(王商)ㆍ왕가(王嘉)ㆍ위현(韋賢)ㆍ평당(平當)ㆍ위상(魏相)이다.

칠상고분유벽초【七相古墳惟碧草】인생의 허무함을 뜻하는 말이다. 칠상은 일곱 재상, 즉 한(漢) 나라 때의 차천추(車千秋)ㆍ황패(黃霸)ㆍ왕상(王商)ㆍ왕가(王嘉)ㆍ위현(韋賢)ㆍ평부(平富)ㆍ위상(魏相)을 가리킨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